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아-
dc.contributor.author한인화-
dc.date.accessioned2020-02-11T02:15:37Z-
dc.date.available2020-02-11T02:15:37Z-
dc.date.issued2020-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307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7382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아동비만 예방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요인, 비만 예방관리 수행을 조사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와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로 학교기반 아동비만 관리프로그램에 6개월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보건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0월 14일 울산교육청에서 실시한 수업역량강화 연수에 참여한 보건교사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아동비만 예방관리에 대한 보건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요인은 Hendershot 등(2008)이 개발한 도구에 Quelly(2012)가 발전시킨 도구를 번역과 역번역 후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만 예방관리 수행(아동수준 및 학교수준)은 Kubik 등(2007)이 개발한 도구를 번역 및 역번역 후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등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교사의 일반적 특성에서, 대상자 총 150명은 모두 여성이었고, 연령은 평균 42.21세로 30-39세 이하가 30.7%였으며, 결혼상태는 기혼이 76.0%이었고, 최종학력은 4년제 졸업이 68.7%이었다. 2. 직무관련 특성에서, 간호사 근무경력은 평균 5.87년으로 5년 미만이 56.0%이었고, 보건교사 근무경력은 평균 9.35년으로 5년 미만이 48.0%이었으며, 고용형태로 정규직 보건교사가 64.0%였다. 관리하는 총 학생수는 301-600명 이하가 32.0%이었으며, 학교급으로는 초등학교가 56.0%였다. 학생 비만예방 프로그램 형태로는 행복운동 등 학교자체 프로그램 참여가 86.7%였고, 학생 비만 예방 프로그램 참여기간은 6개월 이상 13개월 미만이 97.3%였다. 최근 3년간 아동비만 예방 교육을 받은 경험에 대해 ‘없다’가 71.3%이었고, 최근 3년간 아동비만 예방 교육 경험이 있을 때 교육 횟수는 1회가 71.1%였으며, 교육 형태로는 교육청 연수 및 직무연수가 53.3%였다. 3. 아동비만 예방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25±0.80점, 지각된 유익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98±0.80, 지각된 장애요인은 5점 만점에 3.36±0.48점이었고, 아동수준 비만 예방관리 수행 평균은 4점 만점에 2.14±0.60점, 학교수준 비만 예방관리 수행 평균은 4점 만점에 2.25±0.54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비만 예방관리 수행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의 차이는 근무하는 학교급(F=3.477, p=.01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수준 비만 예방관리 수행의 차이는 보건교사의 근무경력(F=3.731, p=.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지각된 장애요인, 학교수준 비만 예방관리 수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익성(r=.410, p<.001), 아동수준 비만 예방관리 수행(r=.376, p<.001), 학교수준 비만 예방관리 수행(r=.45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지각된 유익성은 아동수준 비만 예방관리 수행(r=0.331, p<.001), 학교수준 비만 예방관리 수행(r=.081, p=.027)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아동수준 비만 예방관리 수행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자기효능감(β=.284, p<.001), 지각된 유익성(β=.214, p=.010), 보건교사 근무경력(β=.227, p=.005)으로 나타났으며, 변수의 설명력은 21.2%이었다. 학교수준 비만관리 수행에 영향을 주는 예측 요인으로 자기효능감(β=.457 p<.001)으로 나타났고 변수의 설명력은 21.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보건교사들의 아동비만 예방관리에 대한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기효능감과 유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보건교사의 비만 예방관리 영향요인-
dc.title.alternativeFactors Affecting Obesity Prevention Management of School Health Teacher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한인화-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