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00 0

20대 여성의 성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본 젠더 갈등의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Allport의 집단 간 접촉이론을 근거로

Title
20대 여성의 성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본 젠더 갈등의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Allport의 집단 간 접촉이론을 근거로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causes of gender conflict focus on women's experience of sexism : Based on Allport's intergroup contact theory
Author
이승주
Alternative Author(s)
SeungJu Lee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2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젠더 갈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젠더 갈등은 20대 청년들 사이에서 가장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상에서 갈등이 확대 재생산 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젠더 갈등이 지속된다면 사회적 갈등으로 고착화되고 많은 사회적 자원의 손실로 이어질 것이란 점에서 젠더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젠더 갈등의 당사자인 20대 청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젠더 갈등을 이해하고자 하는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Allport의 집단 간 접촉이론에 근거하여 20대 여성들의 성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젠더 갈등의 원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젠더 갈등에 선행하여 20대 여성들에게 페미니즘이 대중화 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젠더 갈등의 주체인 20대 청년 중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경험에 집중하기 위하여 성차별 경험이 있는 20대 여성 8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연구 과정에 오랜 기간 실증적으로 검증된 Allport의 집단 간 접촉 이론 중 접촉의 4 가지 조건을 적용하여 연구 결과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20대 여성의 성차별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20대 여성들은 모두 여성에 대한 성차별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로 가정, 학교, 사회활동을 포함한 일상생활 곳곳에서 다양한 성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에서는 20대 여성과 남성 집단의 접촉이 어떠한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Allport가 제시한 접촉의 4 가지 조건 중 4 가지 모두 접촉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20대 여성은 성차별로 인하여 남성과 동등한 지위를 갖고 있지 않았다. 둘째, 20대 여성은 결혼과 출산에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남성과의 공동의 목표를 상실하고 있었다. 셋째, 온라인의 익명성과 몇몇 온라인 커뮤니티의 폐쇄성으로 인하여 남성과 여성은 정보가 격리되고 공격적인 상호작용이 유도되는 등 협동 보다는 경쟁의 환경에 노출되어 있었다. 넷째, 정부의 정책이나 법률은 성차별을 해소하기엔 미비한 수준이었고 사회적 인식도 여전히 여성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젠더 갈등의 원인을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젠더 갈등을 해소하려는 사회적 노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젠더 갈등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20대 여성의 성차별 경험을 간접 체험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상담자로서 자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297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66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