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2 0

시공간패턴분석기법을 이용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의 상업용도 확산지역 도출- 서울시 북촌 사례를 중심으로 -

Title
시공간패턴분석기법을 이용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의 상업용도 확산지역 도출- 서울시 북촌 사례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Using Space-Time Pattern Analysis to Detect Commercial Diffusion Area in Gentrified Area - Focused on the Case of Bukchon in Seoul -
Author
박진아
Keywords
시공간패턴분석기법;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상업용도 확산; Space-time pattern analysis; Commercial Gentrification; Diffusion of Commercial Use
Issue Date
2018-12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Citation
국토계획, v. 53, no. 7, page. 23-37
Abstract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는 대상지들을 중심으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과 인근 지역으로의 상업용도 확산 특성을 파악하고자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이인성․배재흠, 2013; 이한울․권영상, 2016; 김희진․최막중, 2016; 김동준· 양승우, 2017). 주로 확산된 지역에서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서 나타나는 용도 및 업종 변화, 대형화및 프렌차이즈화 등이 나타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들은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역의 인근 가로를 선택하여 조사하거나, 커널밀도와 같은 시각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확산을 파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건축물, 가로, 문화시설 등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의 상업용도확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특정 업종에국한되는 등 자료 구득의 한계가 있거나, 특징 파악에 있어 최근접 지역을 직접 조사하거나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어려운 시각적 방법 등을 사용하여방법론 측면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어 왔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서 보다 정확한 상업용도 확산지역을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한다.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변화가 주로 상업 업종에서 시공간적으로 집중되어 나타나는 점에서 착안하여 업종 변화 패턴을 바탕으로 확산지역을 시공간패턴분석으로 탐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패턴분석기법 중 하나인 시공간순열검색통계량을 사용하여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인 북촌을 대상으로 상업용도의 확산지역을 시공간적으로 도출하고 도출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여 방법론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roliferation of commercial uses in the area where Gentrification occurs.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diffusion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diffusion area accurately. Gentrification has a feature that occurs locally in a short time.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space-time pattern analysis to derive the diffusion area of commercial uses in Bukchon, a typical gentrified area in Seoul. Among the space-time pattern analysis, space time permutation statistics used in this study can derive the convergence phenomenon of time and space in a particular case with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has been three proliferation area in Bukchon, one started in 2007, other in 2013 and the other in 2014. In the earliest area, independent shops were the most popular,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restaurants. However in latter areas, there has been more chain stores and clothing stores than earlier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pace time pattern analysis can be used as a tool to analyze the proliferation by gentrification because it can derive accurate location and timing of the diffusion.
URI
http://kpaj.or.kr/_common/do.php?a=full&bidx=1372&aidx=1786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1129
ISSN
1226-7147; 2383-9171
DOI
10.17208/jkpa.2018.12.53.7.2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