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5 0

국민국가의 시간과 ‘세계시간’ -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Title
국민국가의 시간과 ‘세계시간’ -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Times of the Nation-state and the World -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 -
Author
윤해동
Keywords
국가; 시간; 세계시간; 보편시간; 기년법; 역법; 연호; 간지; 서력기원; 그레고리력; State; Time; World Time; Universal Time; Calendar System; Calendar; Reign-Title Cycle; Sexagenary Cycle; Christian Era; Gregorian Calendar
Issue Date
2018-12
Publisher
한국민족운동사학회
Citation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 , no. 97, page. 319-351
Abstract
중화질서를 중심으로 한 전근대의 동아시아에서는 연호-간지 기년법이 오랫동안 정착해 있었으나, 중화질서의 해체에 따라 19세기 말 이후 이 역시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일본은 연호-간지 기년법과 황국 기원 기년법을 병용하는 체제가 정착되었다. 중국은 공자 기원과 황제 기원 등의 통년기년법 사용이 새로 시도되었으나, 신해혁명 이후 결국 민국 기원 기년법이 정착하였다. 조선의 상황은 더욱 복잡하였는데, 연호가 제정되었으나 그것만을 오로지하지 못하고 무려 8개의 기년을 사용하는 혼란이 연출되기도 하였다. 식민지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안적인 기년법으로 민국기원을 내세웠던 것은 필연의 과정이었다.역법 역시 중국의 역서가 ‘천하의 역’으로 동아시아지역에서 통용되었다. 원대 이후 ‘1왕조 1력’ 체제가 정착하였는데, 조선에서는 중국의 역을 토대로 새로운 자국력을 만들려는 노력을 거듭하고 있었다. 동아시아에 그레고리력이 전파되자 일본은 1873년 비교적 이른 시간에 이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였다. 조선 역시 1896년부터 태양력 수용을 선포하였으나, 그것은 부분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1896년부터 1908년까지 조선의 달력은 시헌력과 그레고리력으로 이원화된 시기로, 이는 이 시기의 ‘시간의 혼란’을 드러내는 표상이었다. 조선에 식민지는 그냥 오지 않았다. 다양한 수준의 ‘시간의 혼란’이 식민지에 선행하고 있었다. 식민지기 조선에서 사용된 조선민력은 제국 일본의 ‘국체를 전파하는 매체’로 기능하였다. 1920년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만든 대한민국역서 역시 대안적 달력이었다.표준화되고 추상화된 근대적인 시간은 국가와 자본의 시간지배를 용이하게 만든다. 전통적이고 개별적인 시간이 곧바로 국가와 자본의 시간 속으로 용해되어 버리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국가와 자본은 추상화된 시간이 인간을 지배하고 있는 시스템을 뛰어나게 활용해왔다. In premodern East Asia centered around the Chinese world order, the reign title-sexagenary calendar system had been in place for a long time, but the disintegration of the Chinese world order after the late 19th century led to big changes. In Japan, the reign title-sexagenary and imperial calendar systems took root side by side. In China, perennial calendar systems based on the Confucian or imperial era were initiated, but the Minguo calendar was eventually adopted after the Xinhai Revolution. The situation in colonial Korea was more complicated. Even though the reign-title system was introduced, as many as eight different calendar systems were being used. It was therefore inevitable tha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put forth the Minguo calendar as an alternative.Since the annals of China were considered to be the annals of the world, the Chinese calendar system was adopted throughout East Asia. After the Yuan Dynasty, the “one calendar one dynasty” system was established. Meanwhile, colonial Korea was trying hard to build up its national power based on the Chinese calendar. When the Gregorian calendar was brought into East Asia, Japan adopted it relatively early in 1873. In 1896, colonial Korea also declared its acceptance of the Gregorian calendar, but this acceptance was far from complete. Between 1896 and 1908, the calendar system in colonial Korea was binary, with both Chongzhen and Gregorian calendars in use, manifesting the “confusion of times” during this period. Colonialism did not come to Korea out of the blue. Various levels of confusion of times existed prior to colonial Korea. The calendars used among the Korean nationals during colonialism functioned as a medium for spreading the national system of imperial Japan. The Republic of Korea Almanac published b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1920 was also an alternative form of calendar.When time becomes standardized and abstract, it is easy for the state and capital to take control of it. Traditional and individual times do not readily dissolve into the time designed by the state and capital. Nevertheless, the state and capital have done a good job of utilizing a system in which abstract time dominates humans.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4534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0900
ISSN
1226-9980
DOI
10.19162/KNM.97.2018.12.09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ASIA PACIFIC RESEARCH CENTER(아태지역연구센터)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