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0 1957

장애인 이동성의 사회경제적 요인 : 장애인실태조사 및 위치정보를 활용한 연구

Title
장애인 이동성의 사회경제적 요인 : 장애인실태조사 및 위치정보를 활용한 연구
Other Titles
Socioeconomic Factors of Mobility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 Study Using the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and Geo-location Data
Author
김한성
Keywords
장애인; 경제활동 참여; 이동권; 위치정보; 이차분석; the disable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GPS; secondary data analysis
Issue Date
2018-09
Publishe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Citation
장애와 고용, v. 28, no. 3, page. 59-83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이동성의 사회경제적 요인 중 가구소득과 경제활동 참여여부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14 장애인실태조사자료 중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를 주장애로 가진 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이동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모바일디바이스를 통해 수집한 위치데이터를 사용하여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의 이동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장애인실태조사자료에 대한 이차분석결과, 경제활동 참여여부가 이동성의 주요한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인 중에서 연령, 장애등급, 장애유형, 중복장애여부, 복지시설이용이 이동성의 주요한 상관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위치데이터의 분석결과,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여부는 이동거리와 이동면적과 정적 관계가 있었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인의 이동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독립적 영향을 시사한다. 장애인 인구집단 내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장애인들의 낮고 폐쇄적인 이동양상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mobility and to identify significant correlates of mobility among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Method: The authors analyzed data from “The 2014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to test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on mobility amo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rain lesions, visual disturbance. In addition, geo-location tracking data collected from mobile devices of 63 study participants were also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on the data from the 2014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revealed that age, employment status, the severity of disability, and the type of disability were significant correlates of mobility among the study sample. The use of welfare services faciliti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going out, but negatively with the level of discomfort when going out. The results from the exploratory analysis of geo-location data showed that employment statu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bility among the physically disabled. Conclusion: Policy measures need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mobility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who are socioeconomically marginalized.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7664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0140
ISSN
1976-4871
DOI
10.15707/disem.2018.28.3.00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SOCIOLOGY(사회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장애인 이동성의 사회경제적 요인 장애인실태조사 및 위치정보를 활용한 연구.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