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4 5339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용표-
dc.date.accessioned2019-12-08T06:14:50Z-
dc.date.available2019-12-08T06:14:50Z-
dc.date.issued2018-06-
dc.identifier.citation문화와 정치, v. 5, no. 2, page. 5-30en_US
dc.identifier.issn2289-0637-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6802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88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평화문화’ 개념의 내용, 한계와 성과 등을 분석하며, 평화문화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의 평화 문제를 살펴보고 평화문화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평화문화는 평화 교육, 지속가능한 발전, 인권 존중, 양성평등 보장, 민주적 참여의 확대, 이해 ․ 관용 ․ 연대 촉진, 참여적 소통, 국제적 평화와 안보 증진 등을 통한 평화의 확산을 목표로 한다. 특히 평화문화 개념은 문화적 접근을 통해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와 정체성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냄으로써 평화를 인간의 일상에서부터 증진시키고자 한다.우리사회에서는 분단이라는 특수성과 냉전문화의 영향으로 평화 문제에 대한 편협한 인식, 이분법적 사고방식과 대립 등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평화문화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우리사회에 대한 적실성이 있다. 첫째, 6.25전쟁의 아픔과 여기서 비롯되어 구조적 폭력의 기제로 작용하고 있는 냉전문화의 상처 치유; 둘째, 관용 ․ 이해 ․ 협력 같은 가치와 보다 조화로운 사회정체성 형성을 통한 배타적 ․ 이분법적 문화 개선; 셋째, 포괄적․ 문화적 접근을 통한 평화에 대한 우리사회의 편협한 시야 확대; 넷째,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해 평화적 남북관계를 만들어 가는 환경조성 등이 그것이다.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oncept of “culture of peace,” examine the problems of peace discourse in South Korea, and apply peace culture to Korea.The culture of peace aims at promoting peace through fostering peace education, human right, democratic participation, the value of tolerance and solidarity, and international security. Particularly, the peace culture concept tries to build peace by inducing change in value and identity.In Korea, a narrow perception on peace and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have been maintained because of the division and subsequent formation of the ‘culture of cold war.’ Accordingly, the features of peace culture have usefulness in solving the problems in Korea. First, the peace culture may help curing the pain from the culture of cold war which has been a cause of structural violence. Second, it will contribute to recovering exclusive relationships by encouraging the value of understanding and harmonious identity. Third,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peace will broaden narrow perspective on peace among the Koreans. Finally, the culture of peace will encourage th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for peaceful inter-Korean relationships.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6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3A2923970).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en_US
dc.subject평화문화en_US
dc.subject가치en_US
dc.subject정체성en_US
dc.subject한반도 평화en_US
dc.subject냉전문화en_US
dc.subjectculture of peaceen_US
dc.subjectvalueen_US
dc.subjectidentityen_US
dc.subjectpeace in Koreaen_US
dc.subjectculture of cold waren_US
dc.title평화문화와 지속가능한 평화: 한국에서의 의미와 과제en_US
dc.title.alternativeA “Culture of Peace” for Sustainable Peace: Implications and Tasks in South Korea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제2호-
dc.relation.volume제5권-
dc.identifier.doi10.22539/culpol.2018.5.2.5-
dc.relation.page5-30-
dc.relation.journal문화와 정치-
dc.contributor.googleauthor홍용표-
dc.contributor.googleauthorHong, Yong-Pyo-
dc.relation.code2018020065-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SOCIAL SCIENC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dc.identifier.pidyphong-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