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4 0

전문대학 예체능계열 대학생의 진지한 여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진로를 중심으로

Title
전문대학 예체능계열 대학생의 진지한 여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진로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rious Leisure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 Focusing on Career
Author
정철
Keywords
진지한 여가; 여가; 진로; 예체능계열 진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문성; 4차산업; 계획된 우연이론; Serious leisure; Career; Career of College Students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ofessionalism; 4th Industrial Revolutio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ssue Date
2018-05
Publisher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Citation
관광연구논총, v. 30, no. 2, page. 83-107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예체능 계열 학생들이 자신들의 전공과 직업을 선택하는 진로 선택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친 요소들의 체험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명제는 전문대학 예체능계열 학생의 대학 전공 선택은 무엇에 의해 주된 영향을 받았는가?, 현재 직업 활동을 병행하는 전문대학 예체능 계열 학생의 경우 어떠한 특성이 전공 관련 해당 직무를 획득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수 있게 하는가였다. 연구 결과 두 명제는 진지한 여가의 속성과 맞닿아있었으며, 하위 6개의 요소인 인내, 전문성, 노력, 독특한 기풍, 지속적 이익, 정체성을 도출하였으며 그 외에 이타심과 우연성을 도출되었다. 이들은 처음에는 일상적 여가활동에서 시작하였으나 점차 진지한 여가로 전환되었고 그 과정에서 몰입감과 재능의 확인, 성취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느꼈다. 참여자들 중에는 온라인에서 새로운 직업으로 경제 활동을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유투브나 SNS를 통해 배움을 확장하기도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지한 여가 이론의 연구 영역을 진로 선택 영역으로 확장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4차 산업시대에 인간이 어떻게 자신의 고유함을 스스로 찾아내어 궁극적인 자아실현을 위한 활동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grasp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elements that have import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in the college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tudents to choose their majors and occupations. The research proposition is that what is the main influence of the college majors selection? In the case of students in college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vocational activities, what qualities enable students to continue their efforts to acquire relevant jobs for the majo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two propositions came into contact with the attributes of serious leisure, and derived the six elements of patience, professionalism, effort, unique style, continuous profit, and identity. Initially, they started with casual leisure, but gradually turned into serious leisure. In the process of doing, they felt self-efficacy through the confirmation of immersion, talent, and accomplishment. Participants wer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as a new job online, and expanded their learning through YouTube and S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study area of serious leisure theory was extended to the career field, and it is meaningful to study how human beings find their own uniqueness in the 4th industrial.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53494&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8529
ISSN
1226-8054
DOI
10.21581/jts.2018.05.30.2.8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TOURISM(관광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