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2 413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재진-
dc.date.accessioned2019-12-05T07:34:24Z-
dc.date.available2019-12-05T07:34:24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citation언론정보연구, v. 55, no. 1, page. 195-229en_US
dc.identifier.issn1738-6195-
dc.identifier.issn2508-8629-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1447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7515-
dc.description.abstract학문적 연구는 어느 누구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노력이 아닌 공동작업의 성격을 띤다. 또한 학문적인 노력의 결과들이 집적되어 이론적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언론법제 영역 또한 제1세대부터 현재 세대에 걸쳐서 집적된 연구들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떠한 학문이 어떠한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향후 어떠한 발전 모습을 보일 것인가를 예측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논의되어야 할 것이 바로 초기연구자들의 연구경향이다. 특정 학문분야 초기연구자들의 연구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며 이들의 연구가 언론법제 영역에 어떤 의의가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본 연구는 언론법제 연구의 초기연구자인 장용 교수의 연구에 대해서 재평가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우선 장용은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학계가 자리를 잡고 현재의 위치로 발전하기 위한 길목을 터주는 역할을 했다고 점에서 학문 1세대에 속하는 학자이면서 2세대로 변화해 가는 길을 열어 주는 선도적 역할을 하였다고 인식된다. 아울러 신문학회를 창립하고 적극적인 학술활동을 해 나가면서 학문적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대표저서인 <언론과 인권>은 독자적 학문 영역으로 서의 언론법제 영역의 발전에 방법론과 이론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학문 1세대 연구자들이 활동했던 당시의 연구 환경이 지금과는 사뭇 다르고, 접근방식에 대한 이해의 방향이나 정도에 있어서도 지금과는 큰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학문 발전’의 측면에서 초창기 학자들에 대한 온고지신의 평가는 관련 학문 분야가 어떻게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학문적인 발전이 요구되는가를 고찰하기 위한 출발점이라는 측면에서는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사료된다.Professor Young Chang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scholars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field in South Korea and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first scholar who did corner-stone research in media law area. This study reviewed how much the research and writings of Prof. Chang mad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media law education and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media law area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It was found out that he was very influential in the journalism area. He received Ph.D. degree in the United States in 1967 and played a major role in introducing and implanting the American education and research system in journalism area to South Korea. He emphasized that the press freedom and the right to know are two most critical factors in democracy that we should make a proper balance with the right to reputation and privacy.He wrote some articles, books, and newspaper works related with journalism and media law. Among them, the book <The Press and Human Rights> was most well-known and important work tha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media law area in methodology and theory. In this book, he analyzed libel cases comparing Korean media law with American media law in order to deliver the significance of freedom of the press and right to know. In addition, he introduced Q-method in journalism research which was not familiar at the time.In short, Prof. Chang’s researches can be evaluated to enhance the level of media law research as well as journalism research. Especially, they gave some implications to the media law scholars in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in theory and methodology.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한양대학교 교내연구지원사업으로 연구되었음(HY-2016년도)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en_US
dc.subject언론법제연구en_US
dc.subject장용 교수en_US
dc.subject학문 1세대en_US
dc.subject초창기 연구자en_US
dc.subject학문 발전en_US
dc.subject판례 분석en_US
dc.subjectQ 방법론en_US
dc.subjectYong Changen_US
dc.subjectcase law studyen_US
dc.subjectQ-methodsen_US
dc.subjectfirst generation media law scholaren_US
dc.subjectdevelopment in theory and methodologyen_US
dc.subjecthuman rightsen_US
dc.subjectright to knowen_US
dc.subjectfreedom of the pressen_US
dc.title초창기 언론법제 연구와 장용 교수의 기여에 관한 고찰en_US
dc.title.alternativeA Review on the First Generation Scholar Young Chang’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edia Law Research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55-
dc.relation.page195-229-
dc.relation.journal언론정보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재진-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Jae Jin-
dc.relation.code2018018894-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SOCIAL SCIENC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MEDIA COMMUNICATION-
dc.identifier.pidjjlee-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