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1 0

다문화가정 이주민 어머니의 문화적응과 유아자녀의 언어 및 사회 능력과의 관계

Title
다문화가정 이주민 어머니의 문화적응과 유아자녀의 언어 및 사회 능력과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Acculturation and Preschooler’s Language and Social Abilities in Multi-Cultural Families
Author
김현수
Keywords
다문화가정; 어머니 문화적응; 유아 언어능력; 유아 사회능력; multi-cultural family; maternal acculturation; preschooler; language abilities; social abilities
Issue Date
2017-12
Publisher
한국가족치료학회
Citation
가족과 가족치료, v. 25, no. 4, page. 687-708
Abstract
본 연구의 목표는 다문화가정 이주민 어머니의 문화적응과 유아자녀의 언어능력 및 사회능력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있었다.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3-6세 유아자녀를 둔 결혼이민자 어머니와 이들의 유아 자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 문화적응은 자기보고 질문지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자녀의 사회능력은 담임교사의 평정을 통해, 유아의 표현언어능력과 수용언어능력은 개인 언어능력검사의 실시를 통해 측정하였다. 총 54쌍의 어머니(평균연령 33.46세, SD=5.26세)와 자녀(남아 27명, 여아 27명, 평균월령 52.54개월, SD=12.89개월)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주요 연구문제 검토에 앞서 먼저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사회능력 수준을 살펴본 결과, 표현언어능력에서는 동일연령군 유아들과 비교해 현저한 지체가 관찰되었다. 반면 수용언어능력과 사회능력에서는 현저한 지체가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 목표인 어머니 문화적응과 유아자녀의 언어 및 사회 능력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유아 월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변인들 간 관계를 산출하는 편상관분석과 유아 능력 변인 각각에 대해 유아 월령을 제1단계에 투입하고 각 문화적응 차원 점수를 제2단계에 투입하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수용언어능력에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통합 문화적응 수준이, 그리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주도성과 사교성 사회능력 차원에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통합과 동화 문화적응 수준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및 사회 능력 발달에 결혼이민자 어머니의 통합이나 동화로의 문화적응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acculturation and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nd social abilities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Participants were immigrant mothers and their preschool aged children (3 to 6 years old), residing in Seoul and Gyung-gi areas. Maternal acculturation was measured using a mother’s self-report measure; the preschooler’s social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a teacher-rating measure; and the preschooler’s expressive and receptive languag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individual language ability tests. Data from a total of 54 dyads of mother (mean age=33.46 years old, SD=5.26) and child (27 boys and 27 girls; mean age=52.54 months old, SD=12.89)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Partial correlation analyses controlling for the child’s age (months old)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entering the child’s age in Step 1 and maternal acculturation in Step 2)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earchers found that integration is the maternal acculturation factor that positively affects receptive language abilities of preschool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are the maternal acculturation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leadership and sociability of preschool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nclusions: This study verified the importance of maternal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acculturation i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of preschool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5002632317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6483
ISSN
1226-01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