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6 0

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朱簾, 甲帳에 관한 연구 -修理·排設 부분을 중심으로-

Title
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朱簾, 甲帳에 관한 연구 -修理·排設 부분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on the Playacting Stage at the Royal Palace under King Sunjo -Focusing on Repairs and Installation-
Author
한동수
Keywords
순조; 효명세자; 朱簾; 甲帳; 修理; 排設; King Sunjo; Prince Hyomyeong; Red Blind; Gabjang; Repair; Installation
Issue Date
2017-12
Publisher
한국건축역사학회
Citation
건축역사연구, v. 26, no. 6, page. 67-76
Abstract
조선시대 왕실은 연희를 설행하였다. 궁중연희는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대비들을 위로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목적으로 많이 설행되었다. 내연 무대는 補階 위에 朱簾과 甲帳의 가설시설을 배설하였다. 이는 차면 기능을 수반하며 왕실과 왕가의 권위를 나타냈다. 순조 시기 궁중연희는 조선후기 내연 무대가 발전하는 시기로, 정조 시기와 고종 시기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며, 내연 무대의 기틀을 확립하는 시기이다. 이는 효명세자의 대리청정기에 연속으로 설행된 연희를 통해 확인된다. 慈慶殿進爵을 기점으로 戊子進爵에서는 王世子翌日會酌의 새로운 양상이 출현하였고, 이에 따른 무대의 형식도 갖추게 된다. 가설시설 가운데 가벽 기능의 주렴과 갑장이 연희 무대에 적극적으로 배설되며 변화, 발전하는 단계이다. 朱簾은 일차적인 차면 기능을 하며 왕실의 여성을 상징한다. 이전 시기의 연희에는 주렴을 殿閣에 걸고, 殿庭에는 주렴을 삼면으로 둘러 배설하는 형식이었다. 순조 시기 주렴은 익일회작의 연희 설행일 증가로 왕실의 위계에 따라 발전하였다. 무자진작 익일회작에서 주렴은 捲簾되어 왕세자의 좌를 전내에 배설하지만, 己丑進饌의 익일회작은 전내의 주렴을 降簾하고 왕세자의 좌를 전정에 배설한다. 이는 무자진작으로 왕세자의 정치적 위치를 정립하고, 기축진찬으로 순조의 왕권 회복을 위한 기획으로 판단된다. 즉, 순조 시기 주렴은 궁중연희 내연 무대에서 위계와 위차를 구분하며 발전하였다. 甲帳은 이차적인 차면 기능을 갖는 가설구조이다. 특히, 연희 무대에 겹으로 둘러 가벽으로 설치되었던 紅鼎紬甲帳은 기축진찬에서는 전각의 전면에 兩開드리개 형식으로 배설되며, 설치 위치에서 독특한 형식으로 나타난다. 순조 시기 홍정주갑장은 순조의 사순과 어극 30주년인 왕의 위엄을 상징하며, 위계에 따라 홍정주갑장, 아청목갑장, 홍주갑장, 황목휘장, 백목장 순으로 위치에 따라 배설되었다. 순조 시기 궁중연희 내연 무대에서 주렴과 갑장은 왕실의 권한을 강화하고 기득권 세력에 대응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배설되고, 진작의궤의 수리와 배설에 구체적으로 기록되며 정조 시기보다 발전된 양상을 보인다. 또한, 이후 설행되는 궁중연희에서 내연 무대의 규모 확대, 공간 확장에 따라 배설된 주렴과 갑장의 수리·배설에 영향을 주었다.Royal banquets under the reign of King Sunjo saw developments in the playacting stage, which exhibited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Jeongjo and Gojong this period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the Joseon Dynasty’s playacting stage construction. Starting with the Jagyeongjeon-Hall banquet and continuing into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next-day banquet by the Crown Prince demonstrates a renewed format, with the stage also changing accordingly. This change was substantiated by more assertive use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Previously, the Red Blind has been installed in the palace hall and around the royal courtyard, to form three sides, but as next-day banquets became more frequent under Sunjo, the Red Blind developed and came to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hierarchy within the royal family. In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Red Blind was lifted and the throne of the crown prince was situated in the palace hall. In the banquet of the following year, however, the Red Blind was let down and the crown prince’s throne was placed outside, in palace court yard. This seems to have been a gesture to reorient the crown prince’s political standing and restore Sunjo’s sovereignty the following year. Hence, the installation of the Red Bli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royal hierarchy and ranks under Sunjo’s reign. The gabjang provided the second layer of protection for the playacting stage. The hongjeongju gabjang surrounded the stage in multiple layers and served as a partition. The gabjang from the Year of the Golden Bull banquet, in particular, boasted a unique installation, where it dangled from both sides of the royal palace’s facade. Hongjeongju gabjang, lapis lazuli gabjang, red gabjang, and yellow curtains were installed in the stated order to reflect Sunjo’s 40th birthday as well as the 30-year anniversary of his coronation. The Red Blind and gabjang from Sunjo’s years were positioned in creative ways to reinstate the royal authority, and demonstrated many improvements from those of Jeongjo’s reign.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706163144516.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6409
ISSN
1598-1142; 2383-9066
DOI
10.7738/JAH.2017.26.6.06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ARCHITECTURE(건축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