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0

지하철 2호선 역세권 별 유출입특성과 역세권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Title
지하철 2호선 역세권 별 유출입특성과 역세권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low Ratio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of Subway Line No. 2 Station Area
Author
이명훈
Keywords
도시공간구조; 토지이용; 역세권; 이용특성; Spatial Structure; Land Use; Subway Station Area; Use Characteristics
Issue Date
2017-09
Publisher
한국지역개발학회
Citation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 29, no. 3, page. 157-180
Abstract
본 연구는 역세권의 지하철 이용자의 시간대별 유출입 이용특성을 분석하고, 이용특성에 따라 집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역세권의 토지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체계와 비교·검토하여 지하철2호선 역세권의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서울시의 주요 중심지를 순환하고 있는 지하철2호선 50개 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역의 시간대별 이용자 유출입 특성을 중심으로 지하철 이용자의 특성을 4가지로 유형화 하였다. 유형구분에 따라 역세권 500m반경의 건물용도, 개발밀도에 따른 토지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구체적인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첫째, 스마트카드 데이터는 시간별로 분석하여 지하철역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그 분류 결과를 이용하여 메트로 사용자의 특성을 분석 하였다.둘째, 이용특성에 따른 4가지 유형을 건물용도를 활용하여 토지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지이용특성 분석을 위해 2014년 과세대장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건물용도는 주거, 상업, 공업, 교육 및 공공기관, 기타 등으로 구분하였다. 건물용도에 따른 토지이용특성은 토지이용계수(Land use Quotient, LQ)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유형A는 업무 및 상업중심형, 유형B는 주거중심형, 유형C의 경우 주거·상업 복합형, 유형D는 상업·공업 복합형으로 구분하였다.셋째, 4가지 유형별 용도지역상에서 실현된 개발밀도를 분석하였다. 개발밀도는 현재 실현된 입체적 토지이용과 향후 가용 밀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허용용적률 실현비율’을 활용하여 개발밀도를 분석하였다.넷째, 향후 공간구조 및 기능측면에서 지하철2호선 역세권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분석된 토지이용특성과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중심지체계와 비교·검토하였다.본 연구는 역세권의 이용특성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토지이용특성을 분석하고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체계와 연계하여 역세권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향후 지하철 2호선 역세권 개발정책 및 계획수립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proposes ration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tation area in terms of users, analyzing the flow rate of passengers and land use. and we compared 2030 SeoulCity Plan to suggest the management pla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users of stations. First, it was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use flow. TypeA: influxes in the morning, and outflows in the afternoon and night, Type B: outflows in morning and influx at afternoon and night, Type C: outflows in the morning and nightinflux in the afternoon, Type D: a case where the flow is similar in both morning, afternoon, and night. Land u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uilding use were analyzed. Type A isclassified as business and commerce type, type B as residential type, type C as residential commercial type, and type D as commercial type. Third, the development density realized infour types of usage areas. Type A (89.1%) and Type B (86.3%) were found to have lower capacity of density than Type C (77.2%) and Type D (75.4%).
URI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1032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5438
ISSN
1225-905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