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2 605

The Effects of Parental Management of Peer Relationships o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Social Skills, Friendship Qualities, Loneliness, and Delinquency

Title
The Effects of Parental Management of Peer Relationships o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Social Skills, Friendship Qualities, Loneliness, and Delinquency
Other Titles
부모의 자녀 또래관계 관리가 청소년의 사회기술, 친구관계 질, 외로움 및 비행에 미치는 영향
Author
김현수
Keywords
parental peer management; adolescent social skills; adolescent friendship quality; adolescent loneliness; adolescent delinquency; 부모의 자녀 또래관계 관리; 청소년 사회기술; 청소년 친구관계 질; 청소년 외로움; 청소년 비행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Citation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 12, no 2, page. 59-76
Abstract
This study purport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peer management and adolescents' social skills, friendship quality, loneliness, and delinquency and further shed light on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Four-hundred-seventy adolescents living in Seoul, Gyunggi, and Incheon areas (240 males and 230 females) completed pencil-and-paper assessments of parental management of adolescent peer relationships, adolescent social skills, adolescent friendship quality, adolescent loneliness, and adolescent delinquency. Given the lack of research validating the Parental Management of Peer relationship Inventory (PMPI; Mounts, 2001) using a Korean adolescent popul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the parental peer management behavior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original PMPI items and developed the four scales (Consulting on Peer Relationships, Insisting/Prohibiting Certain Friendships, Emphasizing Healthy Friendships, and Autonomy Granting in Peer Relationship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ggest that parental consulting, autonomy granting, and emphasizing healthy friendships are positive parental peer management dimensions, with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 social outcomes and negative or no effects on adolescent loneliness and delinquency. On the other hand, parental insisting/prohibiting was found to contribute to adolescents' feeling lonely and engaging in delinquent behaviors and have no effects on other adolescent outcome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relationships involving parental consulting and autonomy granting. Clin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본 연구는 부모의 자녀 또래관계관리와 청소년의 사회기술, 친구관계 질, 외로움 및 비행과의관계를 검토하고 이들 관계에서의 성차를 조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470명의 청소년(남자 240명, 여자 230명)이 부모의 자녀 또래관계관리, 청소년의 사회기술, 친구관계 질, 외로움, 비행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완성하였다. 한국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부모의 자녀 또래관계관리 질문지(PMPI; Mounts, 2001)의 타당화 노력 부족과 부모의 자녀 또래관계관리행동 구조에서의 횡문화간 차이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PMPI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먼저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4개 척도(또래관계 자문, 특정친구의 강요/금지, 건전한 친구관계에 대한 강조, 또래관계에 대한 자율성 인정)를 개발하였다. 상관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은 부모의 또래관계 자문, 또래관계에 대한 부모의 자녀 자율성 인정, 부모의 건전한 친구관계 강조가 긍정적 부모 차원임을 시사하였는데, 이들 부모차원은 청소년의 사회적 결과물에 정적 영향을 준 반면 외로움과 비행에는 부적 영향을 주거나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한편, 특정 친구를 강요/금지하는 부모행동은 청소년 자녀의 외로움 경험과 비행행동 관여에 공헌했지만 그 외의 청소년 결과물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성차는 부모의 친구관계 자문과 자율성 인정을 포함하는 일부 관계에서만 발견되었다.연구결과의 임상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6062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5083
ISSN
1975-9290; 2508-147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TC
Files in This Item:
The Effects of Parental Management of Peer Relationships o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Social Skills, Friendship Qualities, Loneliness, and Delin...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