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용-
dc.date.accessioned2019-11-26T21:25:41Z-
dc.date.available2019-11-26T21:25:41Z-
dc.date.issued2017-07-
dc.identifier.citation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 11, no. 5, page. 17-26en_US
dc.identifier.issn1976-6211-
dc.identifier.issn2384-017X-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220818&language=ko_KR-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4867-
dc.description.abstract극장은 시대의 다양한 변화에 발맞추어 끊임없는변화를 해왔으나 사실주의 이후 그 발전의 속도가다소 느려지고 있다. 현대의 관객들은 객석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앉아서 관찰자로써 극을 관람하기보다는 직·간접적으로 공연에 영향을 마치며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의 공연을 기대한다. 이는 포스트모던 사회의 출현과 더불어 다양하고 광대한 정보에익숙한 현대의 관객들이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보편적인 거대서사를 거부하고 특수성과 다름을 강조하는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관심분야들이 과거에 비해더욱 다양해지고 중요해졌기 때문이다.현대의 극장이 현대 관객들의 다양한 세대의 욕구를 표출하는 정형화되지 않은 공동체의 장소로작용할 때 극장의 새로운 운영방식과 형태는 한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여 공간의 성격을 규정짓는 중요한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극장의 새로운 정체성과 기능과 관련해‘포스트드라마’라는 다양한 형태의 연극들의 출현은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다. 포스트드라마는 전통적인 극장 공간에서 전제하는‘무대와 객석’,‘배우와 관객’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공간적 환경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관객이 그들의 선택을 통해 직접이동하거나 배우와의 인터랙션을 통한 창의적 내러티브를 구성해가는 관객 참여형 공연형태가 출현하게 되었다. 특히 연극공연에서의‘몰입 혹은 실감(immersion)’은 공연과 현대 과학기술간의 융합을통해, 수동적 감상자에 머물렀던 관객의 정체성을능동적 참여자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았으며, 동시대 관객의 집단성을 수용하는 극장공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극장과 관객의 새로운 정체성 확보’를 의도한 실천의 한 예로‘이머시브 공연(immersive performance)’≪메모리얼: 조용한 식탁≫의 창작 과정 전반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즉 공동창작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와 교류를 목적으로 한 공연 공간 디자인, 인터넷 매체와 실시간 상호작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 등을 통해 창조된융복합 이머시브 공연(hybrid immersive performance) 이 전통적인 의미의 극장 공간으로 하여금 확장된의미를 지닐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을 모색함과 동시에, 연극을 포함한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관객의 위치가 수동적인 감상자로부터 탈피, 능동적 참여자로자리하고 더 나아가 공동창작자로서의 관객이 출현하는 등, 현대예술에서의 극장과 관객을 통해 생성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주목하고, 그 변화의 가치를 입증하고자 한다.The structure of theatre has been historically conditioned by its contemporary philosophical, scientific, or religious environment, and created dramatic space based on them: the sacred space where primitive men could gather, the Ancient Greek theatre that used sloping topography, the arena theatre reflecting the Ancient Rome's architectural grandeur, the mansion that reflected religious needs in the Middle Ages, the theatre that renovated a tavern in the Elizabethan Era, and the proscenium theatre based on the practicality of realism and science. The development of theatre has kept pace with the changing conditions of the ages. However, after the emergence of realism, the speed of the development has been slowed. Theatres that strived to redress the shortcomings of proscenium arches, such as black box theatres and thrust stages, have emerged, but they could not overcome the limitation of realism that enforced the audience to watch the drama through the fourth wall as a mere spectator. However, modern audience expect to affect the performance by themselves, either unilaterally or multi-directionally, instead of watching a play as a spectator sitting outside of the stage. The tendency of the modern audience resulted from the emergence of post modernism that refuses universal master narratives and emphasizes heterogeneity and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regional conditions.Furthermore, nowadays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how spaces can affect on human lives and how to develop the spaces for their better lives. Such tendency to actively participate in establishing their living spaces came from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that connects people through the smart-phone and internet network and allows them to share their thoughts and images as well as their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atus. Reflecting such changes of the modern age. Studying on the diverse meanings of spaces and performativity based on ≪Memorial: The Silent Table≫ would contribute to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tendencies of modern theatres.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본 논문은 한양대학교 교내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음(HY-2012년도).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fund of Hanyang University. (HY-2012)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en_US
dc.subject포스트드라마en_US
dc.subject이머시브 공연en_US
dc.subject공간en_US
dc.subject뉴미디어en_US
dc.subject인터렉티브en_US
dc.subject공동창작en_US
dc.subjectpostdramaen_US
dc.subjectspaceen_US
dc.subjectnew-mediaen_US
dc.subjectinteractiveen_US
dc.subjectdevisingen_US
dc.title‘이머시브 공연’(immersive performance)의확장된 의미로서의 공간연구: 연극 ≪메모리얼: 조용한 식탁≫을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Space as an Extended Meaning of Immersive Performance : Focused on ≪Memorial: The Silent Table≫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5-
dc.relation.volume11-
dc.identifier.doi10.21184/jkeia.2017.07.11.5.17-
dc.relation.page17-26-
dc.relation.journal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dc.contributor.googleauthor권용-
dc.contributor.googleauthorKwon, Yong-
dc.relation.code2017019634-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PERFORMING ARTS AND SPORT[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dc.identifier.pidA00492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S](예술·체육대학) > THEATER AND FILM(연극영화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