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9 91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선주-
dc.date.accessioned2019-11-25T00:42:14Z-
dc.date.available2019-11-25T00:42:14Z-
dc.date.issued2017-05-
dc.identifier.citation현대영화연구, v. 13, no. 2, page. 103-136en_US
dc.identifier.issn1975-5082-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22491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391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지금은 쇠퇴하거나 죽은 미디어로 위상이 변동한 아날로그 비디오의 매체 특정성을 영화의 관람성 및 자기반영성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영화와 구별되는 동시에 영화의 미학적, 기술적 층위를 변형하고 갱신한 비디오의 매체 특정성을 시간적 존재론, 공간적 존재론, 그리고 관람성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한다. 아날로그 비디오의 이와 같은 매체 특정성의 세 가지 층위가 전자 미디어로의 이행기에 영화의 내러티브 및 몽타주에 미친 영향을 미카엘 하네케와 장-뤽 고다르의 작품들에서 비디오가 자기반영적으로 다루어진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아날로그 비디오의 매체 특정성이 한편으로는 전자 미디어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영화적 관람성을 반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필름 기반의 영화 이미지를 시공간적으로 재배치하는 두 가지 영향을 발휘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영향은 아날로그 비디오를 단지 소멸한 낡은 미디어가 아니라 필름 영화의 관람성 및 미학적 가치를 변형한 동시에 디지털/인터넷을 통한 무의식과 관람성의 일부를 예고한 미디어로 간주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dium specificity of analogue video, which is now regarded as obsolete or dead media, in terms of cinema’s spectatorship and self-reflexivity. For this aim, it teases out and elucidates analogue video’s medium-specific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cinema and also transform and renew the cinema’s aesthetic and technical dimensions, in terms of its temporal ontology, its spatial ontology, and its spectatorship. By analyzing the ways in which the films of Michael Haneke and Jean-Luc Godard self-reflexively deal with analogue video, this paper throws new light on the impacts of video’s three medium-specific aspects on the narrative and montage of cinema in its transition to the electronic media. This investigation leads me to argue that analogue video’s medium-specific aspects are expressive of the cinematic spectatorship changed by the influences of the electronic media while also rearranging the time and space of the filmic image. These two influences of analogue video on cinema further suggest that it is not simply an old media that just disappeared, but is a media that affected the aesthetic value and spectatorship of film and anticipated the internet-based unconsciousness and spectatorship.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연구임 (2016S1A5B8914175)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en_US
dc.subject아날로그 비디오en_US
dc.subject시공간en_US
dc.subject관람성en_US
dc.subject미카엘 하네케en_US
dc.subject장-뤽 고다르en_US
dc.subjectAnalogue Videoen_US
dc.subjectSpace and Timeen_US
dc.subjectSpectatorshipen_US
dc.subjectMichael Hanekeen_US
dc.subjectJean-Luc Godarden_US
dc.title아날로그 비디오의 시간, 공간, 관람성-하네케와 고다르 영화에서의 반영성을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The Time, Space, and Spectatorship of Analogue Video-Reflexivity of Video in the Films of Haneke and Godard-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13-
dc.identifier.doi10.15751/cofis.2017.13.2.103-
dc.relation.page103-136-
dc.relation.journal현대영화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선주-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Sun Joo-
dc.relation.code2017019529-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RESEARCH INSTITUTE[S]-
dc.sector.departmentCONTEMPORARY CINEMA RESEARCH INSTITUTE-
dc.identifier.pidradio7471-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