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형록-
dc.date.accessioned2019-11-25T00:15:56Z-
dc.date.available2019-11-25T00:15:56Z-
dc.date.issued2017-05-
dc.identifier.citation인사조직연구, v. 25, no. 2, page. 257-280en_US
dc.identifier.issn1598-8740-
dc.identifier.uri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518296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3890-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의 조직에서 팀제의 도입이 보편화됨에 따라 팀 단위의 조직개편 및 구조조정과 같은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직 내 구성원들의 불안정에 대한 관심은 아직까지도 ‘직무’에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조직 현장에서 발생하는 팀의 지속성을 위협하는 현상에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하게 되는 ‘팀 불안정(team insecurity)’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소속 팀이 규모가 줄어들거나 다른 팀과 통폐합되는 것으로부터 비롯되는 불안정은 서로 협동하고 상호의존적으로 팀 과업을 수행하는 팀 구성원들의 태도 및 행동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된다. 이러한 팀 불안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팀과 관련한 불안정은 간과되어 왔거나 혹은 직무 불안정에 포함되어 다루어져 왔기 때문에 이것이 가지는 고유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어려움이 존재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새로운 다차원 구성개념으로써 팀 불안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팀 위기관리 문헌을 기반으로 하여 팀 불안정이 팀 구조조정(team restructuring), 팀 상대적 위상(relative team status), 팀 구성(team composition)과 정서적 반응(affective reactions)의 4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된 개념임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팀 불안정이 기존의 유사개념들(예: 직무 불안정, 부정적 정서, 팀 정체성 위협, 그리고 팀 몰입)과 개념적으로 어떻게 구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사회적 정보 프로세스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팀 수준에서 팀 불안정 풍토의 형성을 설명하고, 이와 함께 팀 수준에서의 유관 변수들(예: 집단 신경증, 팀 갈등, 집단 사기 그리고 부정적 집단 정서적 분위기)과의 개념적 차이점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기존 불안정 연구 영역에서 보다 정교하게 팀 불안정 현상을 분리 및 포착함으로써 그 의미가 있으며, 동시에 팀 연구 및 팀 풍토 연구의 확장에도 기여한다. 이와 같은 본 논문의 이론적 논의들은 팀제를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는 실제 조직의 실무자들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team-based structure of contemporary organizations has resulted in frequent reorganization and downsizing of work teams. While a vast amount of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employee job insecurit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nsecurity of a team. To fill this gap, we propose “team insecurity” as a new construct. We define team insecurity as cognitive and affective perceptions of team members concerning threats to the continuity of their team. Drawing on the team crisis management literature, we posit that team insecurity consists of sub-dimensions such as team restructuring, team relative status, team composition, and team affective reactions. Furthermore, grounded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e postulate that team insecurity perceptions emerge as a team climate construct because team members exchange information and develop a sense-making process within the team. Lastly, we conceptually differentiate team insecurity and team insecurity climate from related individual (i.e., job insecurity, negative affect, team identity, team commitment) and team (i.e., group neuroticism, team conflict, group morale, negative group affective tone)-level constructs. As the first scholarly attempt to conceptualize the construct of team insecurity,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m research.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인사조직학회en_US
dc.subject팀 불안정en_US
dc.subject팀 불안정 풍토en_US
dc.subject직무 불안정en_US
dc.subjectteam insecurityen_US
dc.subjectteam insecurity climateen_US
dc.subjectjob insecurityen_US
dc.title팀 불안정의 개념 정립en_US
dc.title.alternativeConceptualization of Team Insecurity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25-
dc.relation.page257-280-
dc.relation.journal인사조직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미희-
dc.contributor.googleauthor신유형-
dc.contributor.googleauthor임형록-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Mihee-
dc.contributor.googleauthorShin, Yuhyung-
dc.contributor.googleauthorYim, Hyung Rok-
dc.relation.code2017018201-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SCHOOL OF BUSINESS[S]-
dc.sector.department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dc.identifier.pidhryi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S](경영전문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