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 0

청년 미취업자의 우울, 진로자기효능감과취업 후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검증: 남녀간 다집단 분석

Title
청년 미취업자의 우울, 진로자기효능감과취업 후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검증: 남녀간 다집단 분석
Other Titles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Career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mong Young Unemployed individuals : A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Author
조한익
Keywords
청년 미취업자; 우울; 진로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 다집단 분석; young unemployed individuals; depression; career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multi-group analysis
Issue Date
2017-03
Publisher
한국진로교육학회
Citation
진로교육연구, v. 30, no. 1, page. 247-271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 사회인지진로 모델(Lent & Brown, 2008)을 토대로, 청년 미취업자들이 미취업상태에서 경험하는 우울과 진로자기효능감과 취업 후 경험하는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우울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모형이 남녀 미취업 청년들에게 일반화가 되고, 우울, 진로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에서 성차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정보원이 청년층을 대상으로 진행한 청년패널조사(YP2007)의 2012년부터 2014년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 변인들 간의 관계, 연구모형의 합치도, 매개효과 검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울은 진로자기효능감을 통해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고, 직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다집단 분석에서 남녀 간의 측정모형이 동일하였다. 요인평균에서 남자집단이 여자집단에 비해 우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중간정도 높았고, 진로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중간정도 낮았으며,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정도로 낮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의의와 진로상담 및 정책에서의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Based on from Integrated Social cognitive career model(Lent, & Brown, 2008), we conducted this study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career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we tested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To do this, we performed the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the Youth Panel data obtained for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covering the period of 2012 though 2014. Findings indicated support for our hypothesized mediated model.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career self-efficacy. The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measurement invaria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ere supported. Also, males reported significantly stronger depression than females and mal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career self-efficacy than females and male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job satisfaction than females. Finally, we discussed limitations, idea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URI
http://www.dbpia.co.kr/view/ar_view.asp?arid=323467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3060
ISSN
1598-9291
DOI
10.32341/JCER.2017.03.30.1.24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