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4 689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정현-
dc.date.accessioned2019-11-21T00:43:00Z-
dc.date.available2019-11-21T00:43:00Z-
dc.date.issued2017-03-
dc.identifier.citation국토연구, v. 92, page. 41-57en_US
dc.identifier.issn1229-8638-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20905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2962-
dc.description.abstract지역 내 또는 지역 간을 이동할 경우에 이용하는 도로는 지역마다 시설 수준이 상이하여 지역별로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로율이라는 지표로 해당 시설의 수준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로율의 개념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보통 행정구역 면적당 도로의 총연장으로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물리적인 통계자료로만 도로율 지표를 산정함에 따라 도로의 등급 또는 도로의 차로수 차이, 나아가 지역 간 통행에 있어서는 고속도로와의 접근성 등 전반적으로 도로의 질적 수준인 교통의 처리 능력을 고려하지 못한 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도로율 지표가 갖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통행의 이동을 고려한 도로의 지역 내 및 지역 간 접근성 지표를 각각 산출하고, 이 두 지표의 조합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로의 서비스 지표를 구축하였다. 사례 분석은 충청남도의 시 · 군을 대상으로 하였고, 충청남도 시 · 군의 도로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지역개발정책 및 공공투자사업 업무를 담당하는 지역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로의 서비스 지표 순위는 기존 도로율에 따른 순위와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면적 대비 도로의 연장이 상대적으로 큰 도시의 경우 통행량이 많아 도로의 서비스 수준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인프라가 잘 되어 있는 도심지라 하더라도 서비스 지표는 낮게 추정되는 지역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에서는 서비스 지표가 도로율에 비해 혼잡지도에 따른 순위와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 도출되어 현 도로 수준에 대한 설명력이 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다소나마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을 위한 도로율 지표 순위를 합리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타당성 판단 시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평가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When travelling, the level of the road area and facility condition is different by region. In general, road ratio is the index to show how much the area of roads in the subject place and roughly measure the level of road service. The concept of road ratio can be differently defined by the purpose of the use, but it has been simply calculated by the ratio between the area and the road length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fore the capability of the road throughput and quality service elements were not fully considered, which is highly linked to the road rank, the number of lanes, and the accessibility to freeways. In order to tackle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road ratio index, this study developed the methodology for estimating road service index which consisted of two elements; 1) inner regional accessibility index and 2) inter regional accessibility index. The proposed methodology were greatly improved in that those indexes could capture the seamlessness and mobility of the road trips. With the proposed indexes, the subject area of the case study was the Chungcheongnam-do in South Korea. By doing so, the expert survey was conducted to the regional specialists for the Chungcheongnam-do who were taking charge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nd public investment projects. As a result, there were the hug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road ratio and the proposed index. For example, the cities with the high road ratio in Chungcheongnam-do show that the quality of the road service is relatively low because of high traffic volume. In other words, although the infrastructure is well constructed, the service index is sometimes underestimated. In the goodness of fitness, the congestion map is much more accuracy than the service index with the road ratio and is more understandable than the current methodology to describe the level of road service.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ology is noteworthy in that both factors with the low penetration rate for the road infrastructure and the low service quality of the road throughput. In addition, the under-developedness index with this proposed index is most likely to assisting the reasonable judgement when applying to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국토연구원en_US
dc.subject도로율en_US
dc.subject접근성en_US
dc.subject서비스 지표en_US
dc.subject혼잡지도en_US
dc.subjectRoad Ratioen_US
dc.subjectAccessibilityen_US
dc.subjectService Indexen_US
dc.subjectCongested Mapen_US
dc.title도로 네트워크의 접근성을 고려한 도로율 지표의 개선 방안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Improvement of Road Ratio Index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of Road Network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volume92-
dc.identifier.doi10.15793/kspr.2017.92..003-
dc.relation.page41-57-
dc.relation.journal국토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유재광-
dc.contributor.googleauthor노정현-
dc.contributor.googleauthorYou, Jaekwang-
dc.contributor.googleauthorRho, Jeonghyun-
dc.relation.code2017018769-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dc.identifier.pidjhrho-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