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정현-
dc.date.accessioned2019-11-21T00:36:17Z-
dc.date.available2019-11-21T00:36:17Z-
dc.date.issued2017-03-
dc.identifier.citation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 18, no. 3, page. 333-344en_US
dc.identifier.issn1975-4701-
dc.identifier.issn2288-4688-
dc.identifier.uri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714563379948.page-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29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고령자를 포함한 교통약자를 위한 도시설계 현황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표적인 복합환승시설인 서울역을 대상으로 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시설 현황 분석은 교통약자를 위한 설계기법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설계 기준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평가를 위해서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의 시설 설계 지침을 활용해 복합환승역사의 특성에 맞는 평가 리스트를 제안하고 현장 답사 및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매개시설, 내부시설과 위생시설은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이용자의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승시설과 안내시설이 매우 열악하여 교통약자가 매우 큰 불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버스 환승에 있어 보행자와 차량 간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았으며 이에 대한 안전 설비가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안내시설과 환승시설에 대한 편의시설 확충이 가장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교통약자를 위해 가독성과 시인성이 뛰어난 안내정보 제공을 통해 모든 이용자과 복합환승역사를 이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이 보완된다면 서울역은 교통약자의 이용 편의성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며 모든 이용자가 불편없이 이용할 수 있는 환승시설이 될 것이다.This research analyzes Seoul station,a typical transfer station complex, focusing on the evaluationof itsbarrier free design suitable for vulnerable persons such as senior citizens.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its compliance with the "barrier-free" design standard for those with physical or other disabilities. This paper proposes a list of items to evaluate for transfer station complexeswith a barrier-free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connectionsand internal and sanitation facilities of (Seoul station/the design?)were excellent.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transfer and guidance facilities, vulnerable persons felt uncomfortable when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transferring from one means of transport to another. Furthermore, there was an extremely high risk ofaccidents when they transferredto the bus s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transfer information facilities,in order to improve their readability and visibility. Once this is done, vulnerable people will be able to use this station more safely and conveniently.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산학기술학회en_US
dc.subjectbarrier freeen_US
dc.subjecthandicappeden_US
dc.subjecttransportation vulnerableen_US
dc.subjecttransfer facilityen_US
dc.subjectuniversal designen_US
dc.title사회적 약자를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설계 사례 분석: 서울역 복합환승시설을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Case Study of Barrier Free Design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Focusing on Transfer Station Complex in Seoul Statio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3-
dc.relation.volume18-
dc.identifier.doi10.5762/KAIS.2017.18.3.333-
dc.relation.page333-344-
dc.relation.journal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정상운-
dc.contributor.googleauthor노정현-
dc.contributor.googleauthorChung, Sang-Woon-
dc.contributor.googleauthorRho, Jung-Hyun-
dc.relation.code2017018995-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dc.identifier.pidjhrho-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