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 0

낮과 밤 차이가 문화유산 관광객의 체험에 미치는 효과

Title
낮과 밤 차이가 문화유산 관광객의 체험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on the Experience of Cultural Heritage Tourists
Author
이훈
Keywords
낮과 밤; 문화유산관광; 체험관광; 주야간 차이; 야간관광; 계절성; day and nigh; cultural heritage tourism; experience tourism; day and night difference; night tourism; seasonality
Issue Date
2019-05
Publisher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Citation
관광연구논총, v. 31, NO 2, Page. 109-132
Abstract
야간에는 문화유산 관광객에게 주는 체험이 주간과 다르게 나타나는가? 본연구목적은 낮과 밤 차이가 문화유산관광객의 체험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한정된자원에서 새로운 관광콘텐츠를 발굴해 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론적 배경에 따라 문화유산관광 체험속성은 다섯 가지 즉 오락성, 교육성, 일탈성, 심미성, 장소성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문화유산관광 체험속성과 만족 간 인과관계 가설이 제안되었다. 2017년-2018년 경복궁에서 진행되는 궁중음식과 전통공연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에 참가한 관광객 316명을 대상으로 낮과 밤에따라 나타나는 체험속성에 어떠한 차이가있는지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체험속성과 만족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회귀분석 및 낮과 밤 차이의 조절효과 확인을 위한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낮과 밤 차이는 관광객의 체험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체험속성인 오락성, 교육성, 일탈성, 심미성 및 장소성은 모두 만족에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오락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체험속성과 만족 간 낮과 밤 차이를 조절변수로 투입한 결과 오락성, 일탈성과 만족 사이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결과를 토대로 야간관광과 문화유산관광 이론의 확장과 관광콘텐츠 활용에 관한 실무적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oes the experience of cultural heritage tourists at night differ from daytime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on the experience of cultural heritage tourist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e five experiential attributes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were derived: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e, Esthetics, and Placeness, and the hypothes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postulated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in the field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316 tourists who participated at a cultural heritage program in Gyeongbokgung Palace from 2017 to 2018. As a result, all of the experiential attribut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However, the mean value of experiential attributes depending on day and nigh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as a moderating role, the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ntertainment, escape,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733225&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1837
ISSN
1226-8054
DOI
10.21581/jts.2019.05.31.2.10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TOURISM(관광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