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3 0

CEO이미지가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기업 및 사기업에 대한 일반 공중의 지각을 중심으로

Title
CEO이미지가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기업 및 사기업에 대한 일반 공중의 지각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EO Image on Perception toward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s
Author
이경렬
Keywords
CEO; CEO 이미지; 공중관계성; CEO 인지도; CEO 비전; CEO 능력; CEO image; Public relationship; CEO cognition; CEO vision; CEO competence
Issue Date
2005-11
Publisher
SBS
Citation
미디어 경제와 문화, v. 3, No. 4, Page. 7 - 3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CEO 이미지가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CEO 이미지를 CEO 인지도, CEO 비전, CEO 지식 수준, CEO 혁신성, CEO 능력, 그리고 CEO 국제감각의 6개 구성요소로 분류한다. 그리고 각각의 CEO 이미지 구성요소들이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대한 일반 공중의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했다. 본 연구는 기업의 공중관계성을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36개의 측정항목을 사용해 400명의 일반 공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들 36개의 측정항목들은 요인 분석을 통해 신뢰성, 능력성, 친근성, 사회봉사성, 관계성, 그리고 친숙성을 포함한 총 6개의 요인들로 축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준상관분석을 통하여 각각 6개의 예측변인군과 준거변인군의 두 집단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제1정준상관의 상관계수는 0.690으로 나타나 CEO 이미지와 공중과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대한 지각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CEO 이미지의 6개의 구성요소는 요인 2(능력성)와 요인 3(친근성)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CEO 이미지의 6개의 구성요소 가운데 CEO 인지도 한 개의 변인을 제외하고 나머지 5개의 예측변인이 요인 2(능력성) 및 요인 3(친근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EO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6개의 예측변인 중 조직-공중관계성과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예측변인은 CEO 비전이었다. 즉 CEO 비전은 요인 6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준거변인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대한 지각을 설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CEO 능력은 요인 2(능력성)를 제외하고 나머지 준거변인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대해 가장 예측력이 낮은 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CEO image on perception toward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classify factors composing of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OPR literature serves as a foundation for proposing and testing the model of CEO image on perception toward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for 400 publics to test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ix factors, such as trust, competence, intimacy, social contribution, exchange relationship, and familiarity, were identified as main components of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image and perception toward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The findings showed that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690. In other word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competence and intimacy among six components turned out to be the best predictor of CEO image. In addition, CEO vision among six predictor variab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Therefore, CEO vision turned out to be the best predictor of perception toward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while CEO competence was the worst predictor of perception toward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964808&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1770
ISSN
1599-825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PUTING[E](소프트웨어융합대학) >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ICT융합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