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4 0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 연구논문 내용분석 - 1990년부터 2004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Title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 연구논문 내용분석 - 1990년부터 2004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Content Analysis on Health-related Communication Research in Korea: based on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the first half of 2005
Author
한미정
Keywords
건강 커뮤니케이션; 내용분석; 건강위기; 흡연; 에이즈; 음주; 신체이미지; Health Communication; Content Analysis; Health Crisis; Smoking; AIDS; Drinking; Body Image
Issue Date
2005-12
Publisher
한국광고홍보학회
Citation
한국광고홍보학보, v. 7, No. 5, Page. 210 - 232
Abstract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5년 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 연구들을 고찰하여 국내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을 짚어보고 중요한 연구 분야로써의 앞으로 전망과 과제에 대해 조망해보았다. 1994년 마약류퇴치 광고캠페인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를 필두로 98년부터는 꾸준히 평균 4.25편의 건강 관련 이슈를 주제로 한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한국 언론학보가 가장 많은 수의 건강관련 논문을 게재하고 있고, 『광고연구』, 『광고학연구』가 1994년부터 2002년까지 지속적으로 건강관련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한편 2003년 이후로는 『광고홍보학보』, 『홍보학연구』에서 건강관련 논문을 다수 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0년 이후 최근까지의 논문 수는 27개로 전체 분석대상의 35편의 7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논문의 주제를 살펴본 결과, 대표적인 건강위기 행동인 흡연, 암, 에이즈, 비만과 같은 질병, 우리 사회의 외모중시 경향을 반영한 신체이미지 및 다이어트 행동이 35편의 논문 주제 중 가장 많이 다루어진 주제로 나타났다. 국내 건강관련 논문의 목적은 크게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효과연구와 수용자 분석연구로 나타났는데, 특히 90년대의 주로 수용자분석과 메시지효과분석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2000년 이후로 내용분석을 목적하는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편 35편의 논문 가운데 건강위기행동이나 관련현상에 대한 이론고찰은 2편에 그쳤다.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 광고홍보분야 소속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논문을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언론정보(신문방송)분야 연구자들이 건강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연구를 수행했는데, 두 인접분야의 연구자 수가 전체 연구자의 7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조사대상을 살펴보면, 분석대상 논문의 57%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약 11%,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1%, 그리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3.5%정도였다. 이용된 연구방법을 살펴본 결과, 서베이, 실험연구, 내용분석의 순서로 연구방법이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논문의 87%를 차지하는 것으로 양적 방법이 지배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찰을 통해 국내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구체적인 이슈를 파악하고 건강관련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진행상황, 현 주소에 대한 보다 폭 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방향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했다. The present research content analyzed 35 health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communication journals from 1990 to the first half of 2005.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ield of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appeared to be relatively new to Korean researchers. Since the first article on drug prevention came out, the average of 4.5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8. Six journals were identified as main outlets for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nd the Korean Public Relations Research. Main topics studied in these articles were health risks such as smoking, drinking, AIDS, and cancer and body image and dieting behaviors. 3 purposes of the research were identified: research on message effects, audience analyses, and content analyses of mass media messages. Only 2 articles discussed theoretical issues and concepts related health communication. A majority of researchers(73%) belongs to fields of advertising, public relations and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in universities. Examining the populations participated in the Korean health communication studies, 57% of respondents was college students, 21% teenagers, 11% general public, and 3.5% children. More varieties in research population is suggested,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survey, experiment, and content analysis comprised about 87% of the research, reflecting dominance of quantitative approaches in health communication studies. The current study also suggest several future directions for the Korean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to exert vigorous efforts on.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499515&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1542
ISSN
1738-247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