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정태수 | - |
dc.date.accessioned | 2019-10-17T05:44:53Z | - |
dc.date.available | 2019-10-17T05:44:53Z | - |
dc.date.issued | 2019-05 | - |
dc.identifier.citation | 현대영화연구, v. 35, Page. 121-139 | en_US |
dc.identifier.issn | 1975-5082 | - |
dc.identifier.uri |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466942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1191 | - |
dc.description.abstract | 바쟁이 ‘완전 영화’를 완전하며 총체적인 현실을 재현하는 영화로 정의한 이후 영화학에서 본격적으로 ‘완전 영화’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그의 ‘완전 영화’에 대한 개념은 다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언급되었다. 이 논문은 통시적 관점에서 바쟁 이전의 완전 영화라는 개념에 초점을 맞추면서 완전 영화의 개념을 재사유하고 있다. 바쟁의 ‘완전 영화’는 관념적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영화 기술적 특성 또한 포괄하는 개념으로 규정되었다. 르네 바르자벨은 바쟁이 완전 영화를 처음 언급하기 2년 전 이미 완전 영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책으로 펴냈다. 그가 상상한 완전 영화는 7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여전히 유의미하다. 또 1929년 조세 제르멩이 바르자벨보다 앞서 완전 영화를 이미 사용하였다. 이러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완전 영화 개념을 재사유함으로써, 이 연구는 영화의 기술적 요소들과 관념적 요소들을 결합하여 다가올 새로운 형태의 영화들을 상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실마리를 찾고자하였다. 결국 이 논문은 고유명사처럼 되어버린 바쟁의 ‘완전 영화’에서 보통명사 완전 영화로의 사용을 주장한다. Since the Bazin ‘total cinema’ is defined as a film that reproduces a complete and total reality, the term ‘total cinema’ has often appeared in cinema study. However, after the Bazin, there were a series of studies that only dealt with his ‘total cinema’ concept. This paper studied the concept of the total cinema before the Bazin in the diachronic point of view and rethinked the concept of the total cinema. Bazin’s ‘total cinema’ has an ideological characteristic and has become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lm. Rene Barjavel published a book concerning the total cinema two years before the bazin first mentioned it. His imagined total cinema is still significant at this moment 70 years later. And the concept of total cinema was already used by Jose Germain in 1929. Through rethinking the total cinema, this study have combined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cinema with the ideological elements to lay the groundwork for imagining new forms of cinema to come. This study argue for a total cinema change in the usual noun in the ‘total cinema’ that has become the proper noun of Bazin. | en_US |
dc.language.iso | ko_KR | en_US |
dc.publisher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en_US |
dc.subject | 완전 영화 | en_US |
dc.subject | 앙드레 바쟁 | en_US |
dc.subject | 르네 바르자벨 | en_US |
dc.subject | 조세 제르멩 | en_US |
dc.subject | 기술 | en_US |
dc.subject | 상상 | en_US |
dc.subject | 미래 | en_US |
dc.subject | 재사유 | en_US |
dc.subject | Total Cinema | en_US |
dc.subject | Andre Bazin | en_US |
dc.subject | Rene Barjavel | en_US |
dc.subject | Jose Germain | en_US |
dc.subject | Technology | en_US |
dc.subject | Imagination | en_US |
dc.subject | Future | en_US |
dc.subject | Rethinking | en_US |
dc.title | 완전 영화 재사유하기 -바쟁과 바르자벨의 개념을 통하여- | en_US |
dc.title.alternative | Rethinking the total cinema -Through the concept of Bazin and Barjavel | en_US |
dc.type | Article | en_US |
dc.relation.no | 2 | - |
dc.relation.volume | 15 | - |
dc.identifier.doi | 10.15751/cofis.2019.15.2.121 | - |
dc.relation.page | 121-138 | - |
dc.relation.journal | 현대영화연구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정인선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정태수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Jung, In Sun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Chung, Tae Soo | - |
dc.relation.code | 2019035608 | - |
dc.sector.campus | S | - |
dc.sector.daehak | COLLEGE OF PERFORMING ARTS AND SPORT[S] | - |
dc.sector.department |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 - |
dc.identifier.pid | zerkalo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