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7 0

한-우즈베키스탄 영상문화협력 현황 및 영화테마 발굴과 진흥을 위한 제언

Title
한-우즈베키스탄 영상문화협력 현황 및 영화테마 발굴과 진흥을 위한 제언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tus of Korea - Uzbekistan Audio Visual Cultural Cooperation and a Proposal on the Search and Promotion of Motion Picture Themes
Author
박영은
Keywords
우즈베키스탄; 영화; 문화협력; 스토리텔링; 전설; <알파미시>; 고려인; Uzbekistan; films; cultural cooperation; storytelling; legend; <Alpamysh>; Goryeo people
Issue Date
2019-05
Publisher
한국아시아학회
Citation
아시아연구, v. 22, NO 2, Page. 345-377
Abstract
1992년에 한국과 외교관계가 수립된 우즈베키스탄은 실크로드의 중심지이자 고려인 동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중앙아시아 국가로서, 문재인 정부에서도 신(新)북방정책의 중요한 파트너이다.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이 역사·문화적 관점에서 한국과의 정신적 유대가 이렇게 중요한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양국의 문화협력을 위한 문재인 정부만의 로드맵이나 청사진은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제는 한류의 인기에 힘입어 인기 드라마 몇 편이나 K-POP에 의존해, 정부가 주도적으로 견인해 나가야 하는 노력과 지원을 소홀히 하는 것은 아닌지 성찰할 시점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문화협력 및 양질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가 좀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인식하에, 양국의 영화 공동제작이 주요 이정표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양국 문화협력의 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일차적인 작업으로 구소련 독립 후 우즈베키스탄의 영화제작 현황과 현재까지 한국 영화인들과의 합작 영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양국의 공동 영화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리, 즉 양국 역사에서 이들이 빚어낸 공동의 스토리를 재조명하려는 노력 역시 배가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이런 맥락에서 ˂알파미시˃와 같은 실크로드를 배경으로 한 우즈베키스탄의 신화·전설을 가공한 영화 소재 발굴 및 ‘신순남’이나 ‘김해운’과 같이 우즈베키스탄에서 살았던 고려인 문예인들의 삶과 예술을 기록하는 영화 소재 발굴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이 그간 펼쳐온 문화외교가 향후에도 진일보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선적이며 일방향적 문화전달에서는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본고에서 제안하는 양국의 공동 영화제작은 스토리 선정부터 제작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그 시도 자체만으로도 양국의 협력사에서 문화브랜드 창조와 경제적 가치를 결합시킨 하나의 전환점으로 기록될 것이다. 과거의 문화자산에서 미래의 문화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영상 콘텐츠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기 때문이다. Uzbekistan, which first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in 1992, was the heartland of the Silk Road trade in the past and the Central Asian country with the most Korean compatriots. Accordingly, the country is also an important partner for the northern policy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under President Moon. This study began from the critical view on the lack of a roadmap or a blueprint toward cultural collaboration unique to the Korean government despite Uzbekistan sharing such strong ties with Korea 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It is time to introspect on the question whether the government is lacking initiative and support by being too dependent on a few popular dramas and K-POP from the wake of the Korean Wave. Accordingly, from the pretense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more initiative in cultural cooperation and quality contents development between the two nations, this study emphasizes joint film production as a potential major milestone toward such cause. Furthermore, as the first step toward the improvement of the two nations’ current cultural cooperation, the study observes the status of film production since the independence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e joint films produced with Korean filmmakers up to now. In addition, the study also urges more efforts toward stories which enable joint film production, that is bringing new light to stories of cooperation in the past history of the two nations. In this context, relevant and specific ideas are presented in search of film subject matter such as the production of Uzbekistan’s myth/legend of 〈Alpamysh〉 rooted in the Silk Road and records related to the life and art of Goryeo people who lived in Uzbekistan such as “Shin Sun-nam” or “Kim Hae-wun”. In order for Korea and Uzbekistan to take a major step forward in terms of cultural diplomacy,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a unilinear and single-sided cultural dissemination. Although the joint film production between the two nations proposed here will take quite a bit of time from the selection of story to the actual production, such attempt will become the turning point which can result in the synergy of new cultural brand and economic value between the two nations’ collaborating partners. The true power of video contents in the making of future cultural values from past cultural assets can never be emphasized enough.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735258&amp;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1113
ISSN
1598-6675
DOI
10.21740/jas.2019.05.22.2.345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ASIA PACIFIC RESEARCH CENTER(아태지역연구센터)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