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8 0

파주 용미리 쌍석불(雙石佛)의 시적 형상

Title
파주 용미리 쌍석불(雙石佛)의 시적 형상
Other Titles
Poetic Figuration of Ssangseokbul (Two Rock-carved Standing Buddhas) in Yongmi-ri from the Joseon Dynasty
Author
이승수
Keywords
입석(立石) 문화; 쌍미륵(雙彌勒); 혜음령; 의주대로; 정희왕후; Menhir Culture; Ssangmireuk(Paired Maitreya Buddhas); Hyeeumryeong Pass; Uiju-daero; Queen Jeonghui
Issue Date
2019-04
Publisher
비교민속학회
Citation
비교민속학, NO 68, Page. 303-331
Abstract
경기도 고양과 파주를 잇는 혜음령 옛길, 장지산 자락에는 2기의 석불 입상이 있다. 이 글은 용미리 양위 석불을 대상으로 한 조선시대 시들을 조명하여, 거기 내재된 시선과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석불의 문화사적 위상을 밝힌 것이다. 쌍석불은 석가불과 미륵불로, 1471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세조의 명복을 빌고 성종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담아 조성한 것이다. 기록상 조성 당시 쌍석불은 세간의 특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는 정희왕후․한명회․연산군이 휘두른 절대 권력의 금기 외에도, 당시 일반 사대부 지식인의 불교에 대한 혐의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무관심은 16세기에도 이어졌다. 16세기 들어, 쌍석불은 혜음령 길을 오간 명나라 사신들의 눈에 매우 인상적으로 비치었다. 그들은 이 장대한 석상을 석장군(石將軍)으로 불렀다. 이는 명나라 사신을 안내한 조선의 접반사들이 쌍석불의 정체에 대해 무지했거나 무관심했음을 시사한다. 이 석상은 17세기 이후 쌍석불이나 쌍미륵(雙彌勒)으로 일컬어졌는데, 석장군 호칭도 여전히 존속했다. 남성 사대부들의 한시(漢詩) 속에 그려진 쌍석불은, 신앙의 대상이라기보다는 노표(路標)나 장승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쌍석불의 조성 배경으로는, 15세기 후반의 불교문화 및 정치상황 외에 당시 입석(立石) 문화의 양상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함께 고려해야 쌍석불의 위치와 형태, 나아가 문화적 기능을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용미리 쌍석불은 15,6세기 한국 입석 문화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가 되는 문화유산이다. Two standing stone Buddhas are found on the old trail through Hyeeumryeong Pass, which connects Goyang, Paju and Jangjisan Mountain. This study attempted to illuminate poems from the Joseon period with stone buddhas in which Yongmi-ri, analyzed implied views and perceptions and unveiled the cultural-historical values of stone buddhas. Ssangseokbul, which is comprised of Sakyamuni and Maitreya Buddha, was built by Queen Jeonghui in 1471, praying for the soul of King Sejo and for the good health and longevity of King Seongjong. When the stone Buddha was being built, it didn’t draw much attention from people. In the 16th century, it greatly impressed the envoys of the Ming Dynasty of China, who would visit Joseon using the old trail through Hyeeumryeong Pass. They named the magnificent stone statue “Seokjanggun”. Since the 17th century, it has been called “Ssangseokbul” or “Sssangmireuk”. In Korean poetry written by sadaebu (scholar-officials), Ssangseokbul was closer to a totem, rather than an object of faith. In terms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oundation of ssangseokbul, menhir culture, addition to Buddhist culture and the political situations during the late 15th century should be considered to attain a complete understanding of its position, shape and cultural function. Ssangseokbul in Yongmi-ri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which is useful in building an understanding Korean menhir culture during ancient times, including the 15th century.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74348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0469
ISSN
1598-101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