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0 0

이민자의 삶의 만족도

Title
이민자의 삶의 만족도
Other Titles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s: Cross-National Comparison and Analysis on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Author
황성식
Alternative Author(s)
Sung-Sik Hwang
Advisor(s)
김상학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적주성(livability)과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는 이론적 틀인 사회구조와 인성이론을 바탕으로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고자 한다. 사회구조와 인성이론에 따르면 사회체계는 개인을 둘러싼 객관적, 구조적 조건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사회체계가 공유하는 가치와 규범을 내재화시킴으로써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를 이민자라는 특수한 맥락에 적용함으로써 사회구조와 문화가 작동하는 기제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민자는 출신국가에 따라서 상이한 가치와 규범을 내재화하였다는 점에서 출신국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편차는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이민자들은 도착국가에서 거주함에 따라 이민사회의 구조적 조건의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거주기간은 구조적 조건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전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거주기간에 따른 출신국 영향의 변화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구조와 문화의 측면에서 이민자의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민자의 개인적 특성, 이민자 집단의 특성 및 도착국가의 특성에 따라서 출신지와 도착지의 영향이 상이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자료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로, 유럽사회조사(European Social Survey)에 세계가치조사(World Value Survey) 및 Migrant Integration Policy Index 등 다양한 집합수준의 자료를 결합하여 국가수준의 비교가 가능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둘째로, 『2015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와 세계가치조사를 결합하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유럽사회조사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삶의 만족도가 높은 국가에서 이주한 이민자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기간이 길어지더라도 이러한 편차는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출신국 영향의 변화양상은 이민자의 이주특성에 따라서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도착국 내에서 커뮤니티 규모가 클수록, 또한 동화주의 보다는 다문화주의 정책을 지향하는 국가에서 출신국가에 따른 편차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들의 경우 입국 초기에는 출신국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거주기간이 지남에 따라 도착지의 수준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럽에 거주하는 이민자들의 경우 출신국가로부터 내재화된 가치관과 규범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기 때문에 출신지의 영향이 유지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한국에 거주하는 이민자들의 경우 민족 집단을 중심으로 한 가치관과 규범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출신지의 영향이 빠르게 약화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출신국 영향의 지속성이 개인, 집단 및 도착국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구조적 조건과 문화의 영향은 이민자의 적응전략이나 민족자본 및 정책적 지향에 따라서 상이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삶의 만족도에 관한 기존의 접근들을 사회구조와 인성이론을 통해 통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의의를 지닌다. 특히 이를 일종의 자연적인 실험집단인 이민자라는 대상에 적용함으로써 사회구조와 문화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아울러 이주특성이 상이한 여러 이민자 집단을 비교함으로써, 구조와 문화가 작동하는 구체적인 맥락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On the theoretical basis of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ity theory,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ual framework that incorporates the livability approach and the cultural approach in explaining societal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ity theory assumes that the social system affects psychological functioning through two different mechanisms, the effect of social structure and the effect of cultu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se two effects by applying the conceptual framework in the context of migration. Immigrants can be characterized as a natural experimental group that shares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destination country but holds different values and norms according to the origin country. Thus, it is premised that the effect of origin country represents the role of culture and the duration of stay in destination country reflects the effect of social structure. Based on these assumptions, this paper compares the effect of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by investigating how the effect of origin country changes as immigrants stay longer in the destination country. Attention is focused on exploring whether the changing pattern vari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mmunity, national level characteristics. To test the hypotheses, this paper used two data sets. Firstly, the data utilizing European Social Survey with various aggregated level data, including World Value Survey and Migrant Integration Policy Index, is constructed to analyze immigrants who reside in various countries in Europe. Secondly, the 2015 Multi-Cultural Family Survey and World Value Survey are combined to analyz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The cross-classified multi-level analyses on European immigrants confirmed that the immigrants from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average life satisfaction tend to be more satisfied. The effect of origin country also persists, irrespective of immigrant’s duration of stay in the destination country. However, the changing aspect of the effect of origin country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mmunity, national level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origin country is maintained if the immigrants have low socioeconomic status, if the size of ethnic group is larger, and if the immigrant policy of destination country is classified as multi-culturalism. In the case of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the variation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rigin country is attenuated as marriage immigrants stay longer. The results can be understood in the light that the effect of culture is salient for the immigrants in Europe as they reinforce their cultural heritage through ethnic enclave. On the contrary, the effect of social structure is mo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where it is difficult to preserve values and norms of origin country. To summarize, the effect of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on life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migration, such as adaptive strategy, ethnic capital, and political orientation.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8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28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OCIOLOGY(사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