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4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기수-
dc.contributor.author조혜령-
dc.date.accessioned2019-08-23T16:41:18Z-
dc.date.available2019-08-23T16:41:18Z-
dc.date.issued2019. 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80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459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내의 웹툰 시장은 유료 웹툰 플랫폼의 정착으로 인해 규모와 장르가 다양해지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BL웹툰의 경우, 서브컬처 장르로서 팬픽 문화를 기반으로 정식 콘텐츠로서 판매되는 것이 아닌 아마추어 마켓을 중심으로 생산, 소비되어지고 있던 장르였다. 이러한 BL콘텐츠가 유료 웹툰 시장이 형성되며 법적으로 안전한 성인 인증 시스템을 갖추게 되며 본격적으로 장르의 하나로서 등장하게 되었으며, 급격한 성장으로 로맨스장르 안에서 무시할 수 없는 규모를 가지게 되었다. 일본에서 생산, 소비되던 장르인 BL이 한국으로 유입되며 일본문화 개방과 유료 플랫폼의 등장으로 토착화되는 전개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국내 웹툰 플랫폼 중 카카오페이지, 레진코믹스, 봄툰, 미스터블루 네 곳을 선정하여 각 플랫폼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는 인기 BL웹툰 텍스트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각 작품의 그림체들은 기존의 성별 특성을 고착화시키는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연출에 대해서는 로맨스장르가 가진 캐릭터의 감정선과 관계도를 답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성애로맨스를 바탕으로 한 콘텐츠와 BL콘텐츠가 가지는 차이점이 두드러진 양상으로 드러나는 지점은 성애 표현에 대한 부분이었으며, 향유의 주체가 여성인 콘텐츠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특성인 것으로 보였다. BL 향유자층이 어떠한 동기로 BL콘텐츠를 향유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심층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향유동기 조사와 텍스트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해낸 특성은 BL 향유자층의 향유 동기가, 현실에서 도피하고 싶은 여성 향유자층의 욕구와 여성들이 불편감을 느끼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성애적 콘텐츠가 부재한 지점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BL콘텐츠를 향유하는 동기가 뚜렷함에도 BL웹툰의 팬덤이 결집하는 모습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단순한 감상과 공유의 단계를 넘어 BL콘텐츠의 주 향유자층인 팬픽션 등의 팬메이드 콘텐츠를 직접 생산·소비하는 BL의 팬덤이 BL웹툰을 소비하는 팬덤으로 확장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캐릭터간 관계 및 로맨스에 집중하는 콘텐츠가 아닌 장르의 혼성화를 통해 다양한 세계관과 입체적인 캐릭터들을 구상해 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 BL콘텐츠의 향유 활성화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ncouragement of Korean BL Contents-
dc.title.alternativeFocus on Paid Webtoons in Kore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조혜령-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 Hyeryeo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문화콘텐츠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E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