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2 0

한국어 정도성 부사의 의미 연구

Title
한국어 정도성 부사의 의미 연구
Other Titles
A Semantic Analysis of Degree Adverbs in Korean
Author
장은화
Alternative Author(s)
Jang, Eun Hwa
Advisor(s)
이필영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고는 정도성 부사의 주된 의미인 정도의 등급을 정도 측정 방식과 관련된 의미 특성에 따라 체계화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도 측정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 자질을 갖는 정도성 부사들은 같은 선상에서 등급이 분류될 수 없는 것인데 그간 정도성 부사의 등급 분류는 의미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채 이루어졌거나 의미 특성이 세분화되지 못하였다. 본고는 의미 특성이 세분화되지 못한 근본적인 원인은 일부로 제한된 정도성 부사 목록에 있다고 보고 정도성 부사 호응 대상의 범위를 형용사로 한정하여 가능한 한 모든 정도성 부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다. 정도성 부사들은 어떤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측정된 정도값을 가지는 부류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부류가 있는데 본고에서는 전자를 ‘상대적([+기준점]) 정도성 부사’, 후자를 ‘절대적([-기준점]) 정도성 부사’로 나눈다. 정도의 등급은 의미 특성에 따른 분류가 선행된 후에 하위 분류될 수 있는 것으로 ‘절대적([-기준점]) 정도성 부사’로 분류된 것들은 네 단계로 등급이 구분되었다. 본고에서는 정도성 부사들이 표시하는 등급이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각 단계를 ‘극단의 정도’, ‘상당한 정도’, ‘보통의 정도’, ‘약간의 정도’로 칭하여 구분하였다. 반면에 ‘상대적([+기준점]) 정도성 부사’의 정도 측정에 관여하는 기준점은 ‘비교대상’, ‘적정치’, ‘도달점’ 등으로 달리 나타나므로 기준점에 따른 의미 분류가 선행된 후에 정도의 등급 분류가 가능하다. 비교대상을 기준점으로 하는 정도성 부사는 비교대상과의 비교 정도를 나타내는데 결과적으로 이들이 표시하게 되는 정도는 ‘순서의 정도’, ‘격차의 정도’, ‘정도의 고저’가 된다. ‘정도의 고저’라는 것은 서술 대상 상태의 정도가 비교대상 상태의 정도보다 높은지 낮은지만을 표시하는 것으로 정도의 등급은 표시하지 못한다. ‘적정치’와 ‘도달점’을 기준점으로 하는 정도성 부사들은 각각 적정치로부터 ‘이탈 정도’와 도달점에의 ‘근접 정도’를 표시하게 된다. ‘정도의 고저’를 표시하는 정도성 부사를 제외한 각 부류의 정도성 부사들이 표시하는 등급은 모두 같을 수도 있으며 단계의 구분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들 중에서는 ‘격차의 정도’, ‘이탈 정도’, ‘근접 정도’를 나타내는 정도성 부사들은 ‘극단의 정도’와 ‘상당한 정도’로 표시하는 등급이 구분되고 ‘순서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도성 부사들은 등급의 구분 없이 모두 ‘극단의 정도’를 표시한다. 각 의미 특성에 따라 분류된 정도성 부사들은 원칙적으로 표시하는 등급에 관계없이 서로 교체될 수 있어야 하는데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는 것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이것은 개별 정도성 부사의 의미 자질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특성은 서술어와의 의미 호응 제약을 통해서 드러난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정도성 부사의 호응 대상으로 한정한 형용사의 의미를 ‘객관’과 ‘주관’으로 나누고 가치 평가적인 차원에서 ‘긍정’과 ‘부정’으로 나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구별하여 정도성 부사와의 호응 제약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systematize the degree grade depending on meaning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degree measurement of degree grade as its main meaning. The degree adverbs with a different semantic feature respectively cannot be classified with only the grade in line of same grade. The precedent grade classification did not be subdivided and did not consider the meaning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degree measurement. This study has been aimed at all adverbs that mark the state degree modifying an adjective, considering the fundamental cause lies in the limited list of degree adverbs. A degree adverb can modify some noun, verb, adverb, determiner. This modification mostly results from the semantic features of modificand with degree grade, not from the semantic features of degree adverbs, leading to limiting the modificand range into adjectives. Some degree adverbs have degree value relatively measured and others do not. This study classifies the former as ‘relative[+control point] degree adverbs’ and the latter as absolute[-control point] degree adverbs. The degree grade can be ranked within degree adverbs sharing same semantic features. This classification precedes subclassification. ‘Absolute degree adverbs[-control point] can be classified into 4 grades and this study refers each grade as ’extreme grade’, ‘considerable grade’, ‘ordinary grade’, ‘weak degree’ respectively to specify the grade. On the one hand, ‘relative[+control point] degree adverbs’ do not have same control point, so they can be differently expressed with ‘comparison target’, ‘optimum value’, ‘reaching point’. Thus, the classification of meaning precedes the classification of degree grade. Degree adverbs with comparison target as control point show comparison degree. Consequentially, its degree expresses ‘order degree’, ‘gap degree’, ‘degree elevation’. ‘Order degree’ expresses the state as high or low and not clarifies degree grade. Each degree adverb with control point of ‘optimum value’ and ‘reaching expresses ’deviation degree’ from ‘optimum value’ and ‘proximity degree’ tp reaching point. Each classification of degree adverbs would have same grade and different phase except degree adverbs ‘degree elevation’. Degree adverbs presenting ‘gap degree’, ’deviation degree’, ‘proximity degree’ can be classified into ’extreme grade’, ‘considerable grade’ and degree adverbs with ‘order degree’ can be all expressed as ’extreme grade’ without distinction of grade. Degree adverbs classified by each meaning feature can be exchanged regardless of grade, but some can be freely exchanged and some cannot. This is reveal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modifier and modificand according to the semantic feature of each degree adverb. Thus, this study divides the meaning of modificand(adjective) into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In addition,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one that can b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with valuation standard the other that cannot. hrough this, each semantic feature and the limitation of modificand would be revealed in addition to the degree of degree adverb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74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4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