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4 0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접속 기능 결속기제 사용 양상 연구

Title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접속 기능 결속기제 사용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 of conjunctive cohesive devices in writing by Korean learners: focusing on the intermediate learners of Chinese university
Author
황용수화
Alternative Author(s)
Huang, Rongsuihua
Advisor(s)
이삼형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서 나타난 접속 기능 결속기제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접속 기능 결속기제에 대해 분석한 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접속 기능 결속기제의 분류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중국 G대학교 한국어 학과 42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교 2학년 1학기와 2학기의 기말고사에서 쓴 작문 75편을 수집하여 접속 기능 결속기제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텍스트의 결속성은 표면적인 언어적 장치로 실현될 수 있는 문법적 연결 관계를 말한다. 텍스트의 결속성을 실현하는 결속기제로는 지시, 대용, 생략, 접속, 어휘적 결속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속기제 중의 접속에 대해 연구하였다. 접속 기능 결속기제는 텍스트 선후행 내용의 의미 관계를 드러낼 수 있으며 논리적인 관련성을 형성시키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한국어 쓰기 교육에는 매우 중요한 교육 항목이다. 지금까지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서 사용된 결속기제에 대한 연구들은 결속기제의 사용 빈도에 대한 분석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으며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중급 학습자가 작성한 쓰기 텍스트를 수집한 후 쓰기 텍스트에서 나타난 접속 기능 결속기제의 빈도, 접속 기능 결속기제의 사용 특징, 사용의 문제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사용 양상을 분석할 때 학습자의 다양한 예문을 사용하여 사용의 특징이나 문제를 직관적으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 접속 기능 결속기제 사용에 대한 연구의 부족을 보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한국어 쓰기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of conjunctive cohesive devices in writing by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analyzes the conjunctive cohesive devices of Korean, and put forwar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onjunctive cohesive devices used in this study. Then collected 75 texts written by 42 Korean learners in the final examination of the first semester and the second semester of sophomore year who are studying in ‘G’ university of China, and analyzes the use of conjunctive cohesive devices in these texts. Cohesion is a grammatical connection that can be realized through superficial linguistic devices. Cohesive devices include reference, substitution, ellipsis, conjunction, lexical cohesion. In this study, the conjunction of cohesive devices was studied. The conjunctive cohesive devices can reflect the meaning relationship between context, and form a logical relevance, so it is a very important part in Korean writing education. So far, studies on cohesive devices used by Korean learners in writing are limited to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cohesive devices' use, and there are almost no studies focusing on Korean learners in Chinese universities.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collected the texts of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conducted a detailed study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use of conjunctive cohesive devices. In the process of analysis, a large number of examples from learners’ texts are used, which intuitively show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using conjunctive cohesive devices .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make up for the lack of study on the use of conjunctive cohesive devices by Korean learners in Chinese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72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4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