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 0

단가 <만고강산> 연구

Title
단가 <만고강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anga 'Mangogangsan' : focusing on the text and Butchimsae
Author
이정화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 Hwa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고는 단가가 판소리의 부속품처럼 속해지지 않고 독립적인 위치로 자리 잡고 전승되길 바라면서 창자들에 의해 꾸준히 불리고 있지만 학문적으로는 연구 되지 않은 단가 <만고강산>을 본 논문에서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한다. 중국의 지명이나 인물 등이 나오는 50여개의 다른 단가들과 달리 <만고강산>은 한국의 지명과 명승을 엮었다는 점에서 더욱 연구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00년대 초 부터 현재까지 여러 명창들이 녹음한 단가 <만고강산>에 대하여 창자별 사설과 붙임새를 연구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사설연구는 박록주·박송희 창본집에 수록된 만고강산의 사설을 토대로 사설의 내용을 먼저 살펴본 뒤, 창자별로 사설과 붙임새를 직접 채록하고 필요에 따라 문헌이나 음반의 가사지를 참고하였다. 사설의 내용은 우리나라의 명승지를 돌아다니며 감탄하는 내용으로 1900년대부터 현재까지 대부분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사설의 변화는 노래가 마무리 되는 제33장단부터 ~ 제37장단인데, 이화중선은 ‘젊어 청춘에 맘대로 놀고’ 라는 사설로 시작하여 젊었을 때 놀자 라는 의미의 사설을 노래하는 반면, 박록주와 김여란, 박초선은 <만고강산>을 유람한 곳에서 이곳에서 현재 놀자 라는 의미를 내포한 사설을 노래하였다. 성창순, 박양덕, 안숙선은 젊었을 때 일을 많이 하고 늙어서 놀고 쉬자 라는 뜻의 사설로 마무리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붙임새는 크게 대마디대장단과 엇붙임으로 나누고 엇붙임 안에서 잉어걸이,완자걸이, 교대죽, 밀붙임, 당겨붙임을 정의 한 후 창자별 <만고강산>의 붙임새를 채록하여 비교하였다. 창자들의 사설이 거의 비슷하게 전해져 내려오는 것처럼 붙임새 또한 같은 사설에서 대부분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는데, 창자별로 제 32장단 이후 사설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따로 본문에서 비교하지 않았다. 창자별로 같은 사설 내에서 다른 붙임새를 사용하는 횟수는 총 9회이며, 제 2장단, 제 7-8장단, 제 12-13장단, 제 14장단, 제 17장단, 제 19장단, 제 21-22장단, 제 23장단, 제 30장단이다. 특히, 성창순과 안숙선의 경우 제19장단과 제23장단을 제외하고 모두 동일한 형태의 붙임새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위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단가 <만고강산>은 1900년대부터, 혹은 유성기 음반이 존재하기 이전부터 현재까지 많은 창자들에게 불리고 있는 단가이며, 시대가 흐름에도 불구하고 사설의 내용이나 장단 수, 붙임새 등이 크게 축소되거나 확대되지 않은 채 변형되지 않고 보존되어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0여개정도 전승되던 단가들이 현재는 10여개 정도로 축소되어 창자들에게 불리고 있다. 본 고는 본 연구를 계기로 <만고강산>과 다른 여러 단가들이 폭 넓게 무대에서 불릴 뿐 아니라 아직 연구 되지 않은 단가들의 심층적 연구와 함께 후대에 잘 보존되어 전승되길 바란다.; < Mangogangsan > is a Danga(短歌; a short song) that has been sung for a long time but was not studied academically. It is often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Pansori but, according to research, Danga should be transmitted independently. Unlike other 50 or so Dangas, which take China as theme with Chinese characters, < Mangogangsan >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iled Korean scenic places. In this papaer, < Mangogansan >’s text and Butchimsae will be compared by records of singers from early 1900s to modern times. Text reasearch is based on lyrics from Park Rokjoo and Park Songhee Chang Collection. After studying the story of < Mangogangsan >, each singers’ text and Butchimsae was recorded for comparison. Other books and lyrics were used as reference. The text is about admiring Korea’s famous sceneries and it has not been changed very much since the 1900s. Still, the biggest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text is from 33rd rhythm to 37th rhythm. This is the part where songs end and Lee Hwajoongsun sang the text starting with ‘Jeolmeo Chungchunae Mamdaero Nolgo’ meaning to enjoy life and play when youg. On the contrary, Park Rokjoo, Kim Yeoran, and Park Chosun sang the text as to enjoy life right now in the beautiful sceneries of < Mangogangsan >. Sung Changsoon, Park Yangduk, Ahn Sooksun interpreted the text to work hard when young and live a fun life when old. Butchimsae is divided into Daemadi Daejangdan and Eotbutchim; Ingeo-geoli, Wanja-geoli, Gyoodaejuk, Mitbutchim, Danggyeobutchim. The meanings of Eotbutchim was studied and compared by recording Butchimsae of each singer. Singers also had very similar Butchimsae like their text. From 32nd rhythm, singers had different text therefore Butchimsae was not compared. Within the same text, singers had 9 different Butchimsaes in 2nd, 7th–8th, 12th-13th, 14th, 17th, 19th, 21st- 22nd, 23rd, and 30th rhytm. Sung Changsoon and Ahn Sooksun share the exact same Butchimsae throughout the rhythms except 19th and 23rd. Accordingly, Danga < Mangogangsan > has been sung by many performers since the 1900s and before gramophone records existed. Even after time, < Mangogangsan >’s story of the text and Butchimsae has not been reduced or expanded but preserved well in it’s original form. Today, only 10 Dangas are being passed on while in the past there were more than 50. This research was written in hopes that < Mangogangsan > and other Dangas to be sung in stage in the future as well.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different Dangas are welcom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70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0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