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2 0

디자인 사고 과정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적용 디자인 교육 지도안 개발 : 디자인 사고의 ‘실행’ 단계 이행을 중심으로

Title
디자인 사고 과정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적용 디자인 교육 지도안 개발 : 디자인 사고의 ‘실행’ 단계 이행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Instruction Applying Free Semester System Using Design Thinking Process: Focusing on ‘Implementation’ Phase of Design Thinking
Author
김지혜
Alternative Author(s)
Kim Ji Hyue
Advisor(s)
현은령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정보가 넘쳐흐르는 시대 상황 속에서 디자인 사고 과정을 활용한 디자인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자유학기제의 취지와 운영방식은 본래의 미술교육 내 디자인 교육의 한계를 넘어 디자인 사고 과정과 함께 새로운 수업모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현직 교사들이 보다 체계적이고 자유롭게 디자인 교육 수업을 구성하는데 재료와 틀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사례를 분석한 후에 수업 개발 방향 및 교수‧학습 실행 모형을 설계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 단계 중심의 디자인 사고를 활용한 디자인 교육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실행 단계 중심의 디자인 사고를 활용한 자유학기제 디자인 수업의 실제 지도안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이에 따른 연구 흐름은 다음의 다섯 장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배경과 목적, 연구 내용 및 방법, 선행연구 분석을 밝히며 크게 디자인 사고를 반영한 수업 설계 모형에 대한 연구와 자유학기제에서의 디자인 사고를 활용한 미술 교육이라는 두 주제로 살펴보았다. Ⅱ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디자인 사고, 실행 단계, 자유학기제에 대해 이해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디자인 사고의 개념과 과정을 토대로 디자인 사고의 특성을 도출했다. 둘째, 디자인 사고 과정 중 실행 단계의 의미를 살펴보고 목적 및 수행방법, 교육적 효과를 고찰하였다. 셋째, 자유학기제의 개념과 시행 이후의 주요 쟁점, 자유학기에서의 미술 교육의 역할을 고찰했다. Ⅲ장에서는 문헌 분석을 통해 실행 단계 중심의 디자인 사고 과정을 적용한 자유학기제 적용 디자인 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행 단계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실행 모형을 토대로 수업 주제를 선정하여 실제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지도안은 15차시로 실행 단계에 집중하여 디자인 사고의 특징을 수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블록 수업의 특징을 살려 문제 해결 과정 경험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더불어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업 주제를 선정하여 서로의 과정을 감상하고 비평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환경을 주제로 한 ‘Zero Waste School’로 선정하여 학생들이 그들의 삶 속에서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디자인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교육 수업을 고안하였다. 마지막으로 V 장에서는 실행 단계 중심의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자유학기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결과와 제언을 요약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현재 디자인 사고 과정을 중심으로 한 자유학기제 디자인 교육의 실천 방안이 부족한 상황에서 디자인 사고의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실행 단계를 중심으로 실제 디자인 산업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프로토타입을 통한 발전 과정을 공교육에서 적용해보고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의 경험을 충분히 해볼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과 디자인 사고과정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교육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소양과의 연관성을 밝혀 더욱 효과적인 자유학기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도 유의미하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수업 지도안에서는 학급을 벗어나 학교로 범위를 확장했으나 더 나아가 지역사회와의 활발한 교류를 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계하면 더욱 효과적인 실행 단계 중심의 디자인 교육을 펼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행 단계 중심의 디자인 사고 기반 디자인 교육이 지니는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반영한 디자인 수업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는 디자인 사고가 가지고 있는 혁신적인 문제 해결 방법의 특성을 학생들이 청소년기 때부터 경험하여 익숙해지기를 바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주제를 가진 체계적이고 양질의 디자인 교육이 공교육에서 일어나길 기대한다. 디자인 교육을 통하여 현 시대 그리고 앞으로의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이 본인의 위치에서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필요한 역량들을 함양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In the age of overflowing information, design education using design thinking process has attracted attention. The purpos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implemented in Korea 's junior high school is the background where a new design teaching model can be implemented. Design education that reflects design thinking process can be achieved beyond the limit of design education that was originally done only in art education. And this effort can be utilized as a material and framework that current teachers can organize design education class more systematically and fre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n to design the instructional development direction, teaching and learning execution model, and to construct specific programs. The research problems that are set up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ignificance of design education using design thinking centered on implementation phase? Second, how can the actual teaching plan of the free semester design class using the design thinking centered on the implementation phase be structured? The research flow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we review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d two major themes: study of class design model reflecting design thinking and art education using design thinking in free school term.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composed of contents of understanding about design thinking, implementation phase, and free semester.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thinking were derived based on the concept and process of design thinking. Second, the meaning of the implementation phase in design thinking process was examined, then the purpose, performance method and educational effect were examined. Third, I discussed the concep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major issues, and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free semester system. In Chapter Ⅲ, I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design education applied free semester system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based on the implementation phas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 Chapter Ⅳ, the subject of instruction was selected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execution model centered on the implementation phase and the actual teaching plan was composed. The lesson plan consists of 15 lessons. It focuses on design thinking by concentrating on the implementation phase, and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fully experience the problem-solving process by taking advantage of the 90-minute block class feature. In addition, the topic of the class was selected as a problem related to students' daily life, and the stude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appreciate and criticize each other's design process. Therefore, the subject of the class was selected to be related to the environment called 'Zero Waste School'. This design class is designed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the design process to find and solve problems in their lives. Finally, Chapter V summarize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on the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centering on the implementation phase that can be carried out in the free semest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design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the free semester is lacking, this study suggested a systematic design education program.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significant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points. It is not only that we have been able to experience the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prototype in the field of the design industry during the course of public education in our country by studying the implementation stage, and developed a concrete model of instruction that can fully experience the problem solving through this. That's it.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more effective free-semester design education program by identifying the core competencies pursued in the free-term system and the relevance of design education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Finall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Although the teaching plan of this study extended the scope beyond the classroom to the school, it also had a limit in that it could not constitute the class as an activity that could actively interact with the community. I think that it is possible to do more effective design education by closely linking with the community,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on various related topics.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design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centering on the implementation phase, and to study design class reflecting it. I hope that students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problem-solving methods in design thinking process from their adolescence. To this end, we expect high-quality systematic design education to take place in public education for all students. I hope that students will develop their competencies in their lives through design education an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create a better future for themselv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54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06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