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 0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과 관리현황에 대한 추이분석

Title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과 관리현황에 대한 추이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rends in the risk management performanc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to the human body
Author
김수현
Alternative Author(s)
Kim, Soo Hyun
Advisor(s)
김기현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NOx)과 함께 광화학반응으로 오존 등 광화학산화제를 생성하여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하며 피부접촉이나 호흡기 흡입을 통해 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VOCs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생활화학제품에서도 VOCs가 검출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정부는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에서 관리권역(수도권 전역)을 설정하여 VOCs를 포함한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PM10, PM2.5, SOx, NOx, O3)에 대한 추진 대책을 발표하고, VOCs 배출원 관리 강화 및 도료 및 생활소비재 VOCs 기준 강화를 설정하는 등 VOCs의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현행 법규상 VOCs는 대기환경보전법에 아래 관리되고 있지만 VOCs에 대한 유해성정보나 인체위해성에 대한 기준과 관리는 여전히 부재한 실정이며, 이에 대한 필요성이 강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조사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VOCs의 유해성과 인체위해성이 제기되어 관리가 필요한 물질들에 대한 추이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국내 VOCs의 물리적 특성과 배출현황에 대해 검토하였고, 국내에서 관리하는 VOCs 37종의 물질에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제시하는 발암성 분류를 적용하여 인체위해성 정보를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제시되고 있는 대기오염물질을 평가하는 평가방안검토와 노출기준 및 유해인자 분류 기준을 통해 VOCs 유해성과 인체 위해성정보를 확인하였다. 국외 데이터로는 미국 EPA에서 제공하는 VOCs의 배출량 현황과 추이를 검토하였고,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제시하는 노출가이드 라인을 확인하였다. 유해대기물질 관리체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물질의 중복규제를 배제하고 물질 유해성 중심의 우선 관리 물질 대상을 선별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관리되는 VOCs, 대기오염물질, 유해성대기감시물질, 특정대기유해화학물질과 미국대기오염측정기관(UATMP)에서 관리되는 VOCs에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분류하는 발암성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물질을 선별 및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는 국내 대기오염물질을 관리•감독하는 이원화 된 법 체제에서 물질의 중복규제를 배제하고 유해성과 인체위해성 중심의 기준과 데이터 구축을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photochemical oxidants, such as ozone, generated by photochemical reaction with nitrogen oxides (NOx) in the air, leading to photochemical smog. They are carcinogens that cause damage to the nervous system through skin contact and inhalation It is known, Recently VOCs have been detected not only in industrial VOCs but also in everyday life chemical products in Korea. Therefore, the government set up the management area (the whole metropolitan area) in the '2nd Basic Plan for Air Quality Manage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announce measures for representative air pollutants (PM10, PM2.5, SOx, NOx and O3) including VOCs, Strengthening management of VOCs emission sources, and strengthening standards for paints and consumer discretionary VOCs. Under current law, VOCs are managed under the Air Quality Preservation Act, but there is still no standard and management for hazard information or human risk for VOC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substances which are required to be managed due to the hazard and human risk of VOC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urvey and data analysi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emission status of domestic VOCs and identified the human risk information by applying the carcinogenicity classification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to 37 kinds of VOCs administered in Korea. In addition, the review of evaluation methods for evaluating the air pollutants presented in Korea and the classification of harmful factors and harmful factor of VOCs were confirmed. As for the overseas data, we reviewed the status and trends of VOC emissions from US EPA and confirmed the exposure guidelines presen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 order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hazardous substances, it is necessary to exclude the duplication of substances and to select substances of priority management substance of harmful substanc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rcinogenicity data classified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for VOCs managed in Korea, air pollutants, hazardous atmospheric monitoring substances, specific atmospheric toxic chemicals, and VOCs managed by UATMP were used the selec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harmonization and harmfulness based standards and data construction by eliminating the duplication of substances in the dual legal system that manages and supervises domestic air polluta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48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5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NEW MATERIALS SCIENCE AND PROCESSING ENGINEERING(신소재공정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