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4 0

지하철 화재 발생 시 비상대응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지하철 화재 발생 시 비상대응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Response for Subway Fire Accident
Author
연승환
Alternative Author(s)
Yeon, Seung Hwan
Advisor(s)
조병완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지하철은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안정성, 정시성이 보장되는 가장 안전한 운송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대중교통 중 가장 많은 승객수송을 분담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노선의 추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하철 역사는 대부분이 지하에 위치하고 있으며 불특정 다수가 밀집하여 이용하는 폐쇄적 공간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많은 인명피해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우리나라 지하철 역사상 최악의 사고로 기억되고 있는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192명의 사망자와 148명의 부상자가 발생함으로써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지하철 화재사고로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 공간 화재의 위험요인을 바탕으로 지하철 화재의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이와 함께 대구지하철 화재사고, 서울지하철 7호선 철산역 화재사고, 아제르바이잔 바쿠 지하철 화재사고 등과 같이 인명피해가 발생한 국내・외 과거 사고사례를 분석하여 지하철 화재 대응의 문제점을 시설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으로 각각 도출하였다. 시설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는 지하철 화재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 강화 및 안전 취약 역사에 대한 안전설비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적 측면에서는 사고 발생 시 직원들의 사고대응 역량 부족 및 시민들의 안전의식 부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도출된 문제점들의 보완 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 지하철의 화재 대응능력을 강화하여 더욱 안전한 대중교통 수단이 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1) 연기의 확산이 빠르고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하는 지하철 화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하역사에도 피난안전구역을 의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대피하지 못한 승객 또는 재난취약자의 임시대피 장소로 활용한다. (시설적) 2) 상황에 따라 대피방향을 알려주는 반응형 피난유도등을 개발하여 대피의 효율성을 높인다. (시설적) 3) 대피시간 기준 초과 역사에 대한 소방시설을 확충을 통해 화재 대응력을 높이고 대피시간을 확보한다. (시설적) 4) 가상현실 화재대응훈련 프로그램의 확대 적용을 통해 직원들의 대응 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운영적) 5)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 스스로 안전의식을 강화하고, 사회적으로도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노력이 필요하다. (운영적); Subway is considered as the safest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energy efficiency, stability and service punctuality. With various advantages, subway stands as a public transportation which takes charge of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and routes are continuously added. However, as most subway routes are located in the underground with closed space and high passenger density, fires can claim many lives. Daegu subway fire is recorded as second deadliest incident in the world which killed 192 people and injured 148.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subway fire incidents and reviewed previous domestic, overseas incidents which claimed many lives, such as Daegu subway fire, Cheolsan station subway fire, which is located in Seoul metro line 7 and Baku metro fire in Azerbaijan and concluded facility and operational problem of fire response procedure. In terms of facilit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overall facilities and enhance security system considering a nature of metro fire. In operational point of view, metro company employees’lack of ability to address accidents and passenger’s lack of safety awareness were considered as problems. In order to address aforementioned problem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easure in order to enhance metro’s ability to tackle fire incidents and be more secure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s. 1)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tro fire that spreads fast and emits a large amount of toxic gas, obligate to install a safety zone for passengers and vulnerable people and use it as a temporary evacuation site. (facility part) 2) Enhance evacuation efficiency by developing reacting evacuation system, which informs evacuation routes. (facility part) 3) Expand fire protection system for stations, which exceeds standard evacuation time to secure evacuation time and strengthen fire tackling ability. (facility part) 4) Increase virtual reality fire response training program to build up employee’s fire tackling ability. (operational part) 5) Continuous promotions and efforts to make safety consciousness to take a deep root and reinforcing safety awareness of citizens. (operational par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4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3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ISASTER PROTECTION AND SAFETY ENGINEERING(방재안전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