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3 0

1인 가구 장애인의 빈곤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Title
1인 가구 장애인의 빈곤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overty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Author
정미숙
Advisor(s)
주성수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우리사회는 1인 가구의 증가현상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1인 가구의 비율은 전체 가구의 28.6%를 구성하고 있으며, 2035년에는 총 가구의 34.3%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서 1인 가구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장애인 가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장애인실태조사에 의하면 2011년 1인 가구 비율이 17.4%에서 2014년 24.3%로 6.9%p 증가하였으며, 2017년에는 26.4%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1인 가구에 대한 연구 및 정책들이 아직까지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나 몇몇 선행연구들을 통해 1인 가구의 빈곤문제가 확인되고 있다. 1인 가구는 홀로 생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1인 가구 장애인은 ‘장애’라는 사회적 취약성과 ‘1인 가구’라는 생활의 열악함으로 이중적 위험에 노출되어 더욱더 빈곤문제가 예상됨에도 1인 가구 장애인을 대상으로 빈곤문제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중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1인 가구 장애인을 대상으로 빈곤실태를 확인하고, 빈곤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장애인의 빈곤 완화 정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가 완료된 장애인 총 6,549명 중 1인 가구로 응답한 1,400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원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빈곤실태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마지막으로 1인 가구 장애인의 빈곤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 장애인 중 60세 이상의 전체 비율이 약 70% 이상이며, 80세 이상인 경우도 약 20% 이상의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유형은 신체적 장애인이 96.4%로 정신적 장애인 보다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득요인은 근로소득이 없는 장애인이 78.9%이고, 사업소득이 없는 장애인이 91.4%, 재산‧금융‧개인연금소득이 없는 장애인이 93.2% 나타났다. 취업상태는 미취업자가 72.4%로 많았으며, 주당 근로시간이 36시간 미만인 불완전취업자가 85.4%로 높게 나타나 1인 가구 장애인의 열악한 경제활동 실태를 보여주었다. 넷째, 1인 가구 장애인의 빈곤여부를 분석한 결과, 65.8%가 빈곤에 해당되었으며, 1인 가구 장애인의 월 평균 소득은 전체 가구 장애인의 1/3 수준이었다. 또한, 1인 가구 장애인은 전체 가구 장애인과 비교하여 사적이전소득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개인요인 변수만 분석 시 성별, 연령, 교육수준 모든 변수는 빈곤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장애요인 변수만 분석 시 장애유형은 빈곤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정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소득요인 변수만 분석 시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금융·개인연금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 모두 빈곤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경제활동요인 변수만 분석 시 중 취업여부와 직장(일)에서의 지위는 빈곤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어 선행연구와 일치하지 않았으나 완전취업여부는 빈곤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1인 가구 장애인의 모든 빈곤 결정요인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개인요인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과 소득요인 중 사업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 그리고 경제활동요인 중 완전취업여부가 빈곤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인 가구 장애인은 전체 장애인 중 빈곤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대상임이 확인되었으며, ‘여성 노인 1인 가구 장애인’은 경제적으로 가장 취약한 집단이 될 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또한, 경제적으로 가구원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1인 가구 장애인이 추후 노년에 빈곤문제가 더 악화되지 않도록 노후를 대비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1인 가구 장애인에게 있어서도 교육지원과 안정적인 일자리 제공은 빈곤 완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책 대안임을 확인하였다.; Recently, our society pays more attention to a social discussion and interest about a phenomenon due to singl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ingle-person households accounts for twenty-eight point six percent out of whole households in 2017, moreover, the single-person households would be increased so that it is predicted as thirty-four point three percent out of whole households in 2035. From this situation, it seems similar to disabled-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a factual survey for the disabled-person households,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ed about six point nine percent from seventeen point four percent in 2011 to twenty point three percent, furthermore, it has been increased as twenty-six point four percent in 2017. However, a study and policy are insufficiency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re is a few study for a poverty problem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s. The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a high chance being in financial problem because they are a family supporter for themselves. Then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are facing double dangers in both a social weakness from ‘the disabled’ and an inadequate living from ‘the single-person households’, but there is a lack of study focusing on the poverty problem of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this study has a certain purpose to assist the poverty escape policy of the disabled by considering its actual condition and analyzing a poverty determinant based on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are the most vulnerable social group. Therefore, this study uses the reference data from the factual survey for the disabled in 2017, after survey, it focuses on one thousand and four hundreds respondents from six thousands and five hundreds forty nine people. To analyze it by using SPSS 21.0 program, this study conducts a frequency analysis and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o consider a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ctual state for them. Also, it conducts a correlation relationship to consider a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t last, it conducts a logistics analysis to consider the determinant in the poverty of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As a result, here is a summary as follows. First, the share of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over sixty years old exceeds more than about seventy percent and sometimes the share over eighty years old exceeds about twenty percent. According to this, there is a remarkable phenomenon in the aging society among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Second, the physical disability, which occupies the ninety six point four percent, has much more high importance in the types of disability compared with the mental disability. Third, in case of an income factor, the seventy eight point nine percent of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has no means of earned income and the ninety one point four percent of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has no means of business income and the ninety three point two percent of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has no means of property, banking, and annuity income. Also, in case of employment state, the seventy two point four of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is unemployed, moreover, the eight five point four percent of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has a working time per week less than thirty six hours. To summarize it, there is poor surrounding in their economic activity. Fourth, in case of a poverty check of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the sixty five point eight of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has been in the poverty state, furthermore, the average monthly pay of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is the one-third of disabled person households. Also,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a high dependent in a private transfer income compared with the disabled person households. Fifth, in case of individual variables, there is a meaningfully positive effect of all variables including a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on the poverty check. Sixth, in case of disability variables, there is a meaningfully positive effect of the disability types on the poverty check, but there is no positive effect on the disability severity. Seventh, in case of income variables, there is a meaningfully positive effect of earned income, business income, property, banking, annuity income, public transfer income, and private transfer income on the poverty check. Eighth, in case of economic activity variables, there is no positive effect of employment condition and their position in the work on the poverty check. According to this, there is no agreement with previous study but there is a meaningfully positive effect of full employment condition on the poverty check. Nineth, in case of poverty determinant variables in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 is a meaningfully positive effect of individual variable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variables including business income, public transfer income, private transfer income and economic variables including full employment condition on the poverty check. As a result,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re is a high chance of being poverty in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the disabled person households. Especially, there is a theoretical agreement that disabled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has much more chance in being poverty. Also, this study suggest that a plan for the their later years is necessary for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cannot take a support from other family members. For the disabled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considers a policy that the education supports and proper working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reducing their poverty condi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40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61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