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7 0

노인환자의 수술 후 보호자의 회복실 상주여부에 따른 보호자의 불안과 불확실성

Title
노인환자의 수술 후 보호자의 회복실 상주여부에 따른 보호자의 불안과 불확실성
Other Titles
Anxiety and Uncertainty based on Family's Visitation of Recovery Room among Family Members of Elderly Patients who had Operation
Author
노수현
Alternative Author(s)
Noh,Soo Hyun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의료 기술의 발달과 고령화로 65세 이상 노인환자 수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노인환자는 만성질환으로 일반 성인보다 수술에 대한 부담이 높고, 수술은 환자와 환자 보호자에게 부정적 경험을 초래하는 스트레스다. 본 연구는 전신 마취 하에 정규 수술 후 회복실에 입실하는 65세 이상 노인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환자의 곁에 회복실 상주를 하였을 때 보호자에게 미치는 불안 및 불확실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 실험설계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하는 K 대학교 병원에서 수술 받은 65세 이상 노인환자의 보호자로 실험군 35명, 대조군 36명의 총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기입하는 방법으로 불안측정도구는 Spielberger(1972)의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중 상태불안 척도를 Kim과 Shin(1978)이 한국인에 맞게 번안한 상태불안도구를 사용하였고, 불확실성의 측정도구로는 불확실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MUIS(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를 정재원(2005)이 번역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의 회복실 상주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Likert 5점 척도와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분석, 보호자 상주 전 동질성 검정을 위해 χ2-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으며, 보호자 상주 전 종속변수인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한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은 t-test, 보호자 상주 후 불안 및 불확실성의 전·후 차이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 집단의 변화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으로 분석하였으며, 보호자 상주에 대한 만족도는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노인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이 동질함을 확인하였다. 2) 상주 전 종속변수인 불안과 불확실성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이 상주 전 동질함을 확인하였다(t=.57, p=.572). 3) 회복실 보호자 상주를 한 실험군과 상주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불안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하나(t=2.14, p=.036), 실험군의 사전, 사후 불안 점수의 차이보다 대조군의 사전, 사후 불안 점수의 차이가 더 크게 감소하여 불안의 연구는 기각되었다(전ㆍ후 차이:실험군 0.37±.0.32, 대조군 0.60±0.57). 4) 회복실 보호자 상주를 한 실험군과 상주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불확실성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하나(t=2.36, p=.030), 실험군의 사전, 사후 불확실성 점수의 차이보다 대조군의 사전, 사후 불확실성 점수의 차이가 더 크게 감소하여 불확실성의 연구는 기각되었다(전 ․ 후 차이: 실험군 0.03±0.20, 대조군 0.21±0.43). 5) 회복실 보호자 상주에 대한 만족도는 5점 중 평균 3.6점으로 중간 이상 의 만족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회복실 보호자 상주는 불안과 불확실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실험군보다 대조군의 점수가 더 낮아 회복실 상주효과에 대해 반복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회복실 상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고, 체계적인 지침과 의료진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유도한 후 연구한다면 보호자의 불안과 불확실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surgery is on the rise in patients aged 65 years and older. The elderly patients are more burdened by surgery because of chronic diseases compared to other adults, and surgery causes stress and unfavorable experiences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such as anxiety and uncertainty on family members who visit a patient over 65 years of age, who underwent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in the post-anesthesia care unit (PACU)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Method This study had a non-equivalent case–control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family members of the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who were under general anesthesia at the PACU of K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N=71).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5 to April 25, 2017, and the research tool was a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Anxiety was evaluated using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pielberger, 1972), developed by Kim and Shin (1978). Uncertainty was evaluated using 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 translated and corrected by Jung Jae won (2005). The five-point Likert Scale and an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used to evaluate family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mean, percentage, χ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on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2.0 software for Windows. Result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nxiety and uncertainty variables before the PACU visit(t=.57; p=.572). 3) Anxiet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visited the PACU , and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visit the PACU(t=2.14, p=.036). The pre–post anxiety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trol group. Studies on anxiety have been rejected(pre–post: experimental group, 0.37±0.32; control group, 0.60±0.57). 4) Uncertaint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visited the PACU, and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visit the PACU (t=2.36, p=.030). The pre–post uncertainty scores were lower in the control group. Studies on uncertainty have been rejected (pre–post: experimental group, 0.03±0.20; control group, 0.21±0.43). 5) Satisfaction with the PACU visit showed an average of 3.6 out of 5 poi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s of PACU visit are needed because the control group scores of anxiety and uncertainty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experimental group scores. Therefor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the PACU visiting program should be evaluated. Systematic guidelines and changes in the attitude and perception of the medical staff would positively affect the anxiety and uncertainty experienced by the family membe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3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02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HEALTH NURSING(노인건강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