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손) 귀 령-
dc.contributor.author김 은 아-
dc.date.accessioned2019-08-22T16:40:16Z-
dc.date.available2019-08-22T16:40:16Z-
dc.date.issued2019. 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39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003en_US
dc.description.abstract치매 유병률의 급격한 증가속도는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치매환자에게 비교적 발생 빈도가 높은 암이나 골절 등의 노인성 통증질환은 재가 치매환자와 시설거주 치매환자들을 종합병원으로 급속히 이동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급성기병원 간호사의 치매환자 간호 비중을 더욱 높이고 있다. 따라서 급성기병원 간호사에게도 치매환자에 대한 이해와 치매환자 간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학습할 기회가 적었던 간호사들은 인지손상이 있는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급성기병원 간호사들의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도의 관계와 수행도의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치매환자 통증관리 수행도의 예측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치매환자의 효율적인 통증관리 방안과 표준화된 통증관리지침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월 22일부터 2019년 2월 14일까지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상급종합병원 내·외과계 병동간호사 1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은 Fetherstonhaugh 등(2016)이 개발한 것을 유영선(2018)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태도는 김은주(2006)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행도는 이미현, 박명화(2016)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way ANOVA 및 S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총점의 평균 점수는 24점 만점에 19.90(±2.47)점, 태도는 4점 만점에 3.05(±0.26)점, 전체 수행도는 5점 만점에 3.77점(±0.46)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치매환자 통증사정 수행도는 4.04점(±0.61), 통증중재 수행도는 3.63점(±0.47)으로 치매환자 통증사정 수행도가 통증중재 수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통증간호 관련 특성에 따른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도는 연령, 결혼여부, 임상경력, 통증교육 경험 횟수,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통증 간호에 대한 지식정도와 수행정도, 치매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수행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와 수행도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r=.21, p=.011),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태도와 수행도(r=.20, p=.020)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치매환자 통증관리 수행도의 예측요인은 경력(β=.282, p<.001), 본인인지 통증지식(β=.256, p<.001), 통증관리 태도(β=.178, p<.022)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총 설명력은 18.7%였다(F=11.686,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관리 수행도의 예측요인을 고려하여 치매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와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시행과 임상간호현장에 적용이 용이한 표준화된 통증관리 권고지침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on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f the nurses in acute hospitals and predictors of performance. As identifying predictors of performance on pain management for dementia patients,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that could help prepare effective pain management measures and standardized pain management guidelines for dementia patients.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22nd to February 14th in 2019. It set 140 nurses, working in medical and surgical wards of an advanced general hospital in Seoul, as research subjects. In case of pain management of dementia patients, this study utilized a measuring tool that Ryu Young-Seun(2018) revised and complemented, which originally Fetherstonhaugh(2016) developed. In case of attitude, this study utilized a measuring tool that Kim Eun-Joo(2006) developed. In case of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d a measuring tool that Lee Mi-Hyun and Park Myong-Hwa(2016) developed. Using SPSS/WIN 24.0 program, it analyzed the data, depending on the research purpose,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otal point of subjects on pain management of dementia patients is average 19.90(±2.47), out of 24. Total point on attitude is average 3.05(±0.26), out of 4. Total point on performance is average 3.77(±0.46) out of 5. Total point on pain assessment performance, which is a subcategory, is average 4.04(±0.61), Total point on pain mediating performance is average 3.63(±0.47), This study found that the pain assessment performance is higher than pain mediating performance for dementia pati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ce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f pain management for dementia patient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related to the pain management of subjects. However, there is significance on performance, based on age, marriage, clinical career, the number of pain management educ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level that the subject recognized and education participation for dementia patients. As results of researching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f the subjects on pain management for dementia pati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among knowledge and attitude on pain management for dementia patients(r=.21, p=.011), and attitude and performance on pain management for dementia patients(r=.20, p=.020).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erformance on pain management for dementia patients. This study identified predictors of pain management performance for dementia patients as career(β=.282, p<.001), pain management knowledge that subjects recognized(β=.256, p<.001), and attitude on pain management (β=.178, p<.022) The variables showed 18.7% total explanatory power (F=11.686,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predictors on pain management performance of nurses for dementia patients could be considered. Then, this study expects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needed for developing standardized pain management guidelines that could conduct educations to improve desirable attitude and awareness on pain management for dementia patients and could be easily applied into actual clinical nursing field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급성기병원 간호사의 치매환자 통증관리 수행도 예측요인-
dc.title.alternativePredictors on Pain Management of Patient with Dementia in Nurses Working in Acute Hospital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은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Eun Ah-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임상간호정보대학원-
dc.sector.department노인건강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노인 및 치매간호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