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 0

인원 구성 요소가 기업 CSR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인원 구성 요소가 기업 CSR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staff composition on enterprise CSR capability
Author
당탁
Alternative Author(s)
DANG ZHUO
Advisor(s)
최성진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경제 발전과 기술의 진보로 국민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지속 가능한 발전이 점점 중시되고 있다. 기업의 경제 활동과 운영 방식에 따라 환경오염, 근로자의 합법적 권익 비존중, 소비자 피해 등 문제들이 초래됐다. 사회는 기업에게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책임의 이행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기업은 이러한 활동이 사회에 보탬이 될 뿐만 아니라, 기업의 명예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 촉진에도 일조한다는 것을 자각하게 됐다. 현재 많은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 활동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는 상황이나 학술적인 측면에서, 인원 구성의 특징적 차원에 바탕한 기업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많지 않다. 연구자는 이에 관련한 논문 연구를 진행하여 오늘날의 실정을 극복하고, 학술적 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했다. 본 논문은 인원 구성의 특징적 차원에 입각하여 이사회 구성원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이어질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연구들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연구자 본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해관계자 이론,기업윤리이론,상위계층이론,대리인이론,인적자본이론과 여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가설을 세웠으며 'Rankins CSR Rating' 가 공표한 중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점수에 기초하여 2007년 기준, 상장 회사 465개의 데이터를 취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표현을 종속변수로, 이사회 규모, 이사회 고학력 직원비율, 이사회 해외 경험이 있는 직원비율을 독립변수로, 이사회 해외 경험이 있는 직원 비율을 조절 변수로 두었다. 끝으로, 이사회의 독립 이사 수의 비율, 감사원의 수, 기업 속성(공/사), 기업 크기, 기업 나이를 통제변수로 보고 결과 값을 분석했다. 실증연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이사회 규모 간에 상간관계를 검증한 결과, 강한 정적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이사회 고학력 직원 비율은 강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했다. 조절변수에 해당하는 이사회 내 해외 경험을 보유한 임원의 비율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이행과 기업 규모의 정적 상관관계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이행과 이사회 고학력 직원 비율은 정적 영향 관계에 있지 않다.;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e progress of the economy and the technology, the improvement of the people's living standards, sustainable development has gained more and more attention. Owing to various economic activities, enterprises have caused multiple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the violation of the rights of the employees, and damage to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onsumers. People are beginning to require the company to take on social responsibility. Also, the fulfilment of social responsibility helps enterprises to improve their reputations and promote the long-term sustainable development of enterprises.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is social trend, many enterprises start paying attention to and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t presen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ne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is paper studies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board members and company staffs 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nel characteristics. Based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takeholder theory, corporate ethics theory, upper echelons theory, agency theory, human capital theory and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proposed hypotheses. The performance of CSR i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board size, the proportion of board members with high education level, the proportion of board members with overseas background, the proportion of female board members, the proportion of staffs with high education level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proportion of independent directors, the number of supervisors and company attributes (public/private) are set as the control variables. The proportion of board members is also set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empirical research. In this paper, Rankins CSR Rating'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core of listed companies published in 2017 is selected as the perform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the invalid data, 245 companies are chosen for empirical research. Empirical research proves that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and the board size,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SR performance and the proportion of board members with high education level, and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SR performance and the proportion of board members with overseas background. Moreover,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SR performance and the proportion of female board members, a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SR performance and the proportion of staffs with high education level. At the same time, with the moderating variable, the empirical study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board members with overseas background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and the board size, and the proportion of board members with overseas background h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and the proportion of female board membe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16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2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TRATEGIC MANAGEMENT(전략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