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 0

고용주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구직자의 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조절효과

Title
고용주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구직자의 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Employer Brand Perception on Job seekers' Job seeking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uthor
임몽교
Alternative Author(s)
LIN MENG JIAO
Advisor(s)
심원술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용주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기능적 인식과 상징적 인식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고용주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 변수인 지각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이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가설로 고용주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기능적 인식과 상징적 인식으로 구분되어 구직자의 구직의도에 정(+)의 효과를, 구직자가 지각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고용주 브랜드에 대한 인식과 구직의도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모 대학교 경영학과 학부와 대학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161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4.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용주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구직자의 구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주 브랜드에 대한 기능적 인식과 상징적 인식이 구직자의 구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주 브랜드에 대한 인식과 구직의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기업은 구직자의 구직 활동 빈도와 적극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업 관리자는 기업의 고용주 브랜드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힘써야 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Based on existing studies, this study divides the employment brand perception into functional perception and symbolic perception, and verifies the influence of employer brand perception on job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S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hypothesis is that the employment brand perception is divided into functional perception and symbolic perception, and positive effect on job seeking intention of the job seeker,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ived by job seeker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we used 161 questionnaires from undergraduates and postgraduates majoring in management in China. In order to analyze data, SPSS 24.0 and Amos 23.0 software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verificat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with SPSS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mployers brand perception positively affects job intention. Secondly, functional and symbolic perception of the employer brand positively affect job intention. Thir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r brand perception and job intention, job seekers' perception of CSR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Through this research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frequency and enthusiasm of job search activities of job seekers, enterprise manager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 image of employer brand and actively assum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15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9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TRATEGIC MANAGEMENT(전략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