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4 0

An articulatory study on the interplay between morphological and prosodic structure in Korean

Title
An articulatory study on the interplay between morphological and prosodic structure in Korean
Author
Lee, Jiyoung
Alternative Author(s)
이지영
Advisor(s)
조태홍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한국어 연구는 기저의 형태소 구성(underlying morphological composition)은 다르지만 표면상으로는 동일한 음소 배열((C1)V1C2+V2 vs. (C1)V1C2V2) 이 운율 구조(prosodic structure)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조음 측면에서 알아본다. 이전 연구들에 따르면, 운율 경계(at the edges of prosodic boundary) 또는 강세를 받는 곳(under focus-induced prominence)과 같이 운율적으로 중요한 위치에서는 분절음들이 강하게 조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많은 연구들이 표면상에 나타나는 분절음과 그것의 조음방식에만 집중 되어있기 때문에, 그 결과를 토대로 언어 기저의 구조적인 측면(예, 형태소 구조, morphological structure)을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 언어 안에서 최소의 의미단위인 형태소와 그 구조를 연구했으며, 표면상으로 동일한 음소배열일지라도 기저의 형태소 구조가 다르다면 운율 구조에 의해 조음적으로 다르게 실현됨을 보여주었다. 결과에 따르면, 운율 구조상 높은 레벨의 운율 영역 앞(in the IP-initial position) 에서는 자모 구조(C2V2)가 강화되어 자음과 모음이 동시 조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경향성은 기저 상 형태소 경계를 지나는 경우((C1)V1C2+V2) 보다 동일한 형태소인 경우((C1)V1C2V2) 에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강세가 주어진 경우, 기저의 형태소 구조와 그 안의 음절 구조가 강화되며 안정적인 동시조음(stability of intergestural timing relations)을 보였다. 예를 들어, V1C2의 경우 기저의 형태소를 고려할 때 중성과 종성의 관계를 갖는 (C1)V1C2+V2에서 안정적으로 조음 되었으며, C2V2의 경우 기저 상 초성과 중성의 관계를 갖는 (C1)V1C2V2에서 보다 안정적인 동시 조음이 관찰되었다. 이전의 연구들에 따르면, 표면상으로 동일하게 배열된 음소들은 기저의 형태소 구조가 다를지라도 조음상으로 다르기 어렵다. 그러나 본 논문은 표면상으로 동일한 음소구성일 지라도 기저의 형태소 정보(underlying morphological information)가 사라지지 않고 조음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운율 구조와 같은 또 다른 언어적인 구조와 상호작용하여 조음에 반영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resent EMA study explores how the underlying morphological structure interacts with prosodic structure and how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linguistic structures is reflected in articulatory realization in Korea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segments are known to show strong articulation at the edges of Intonational Phrase and under focus-induced prominence (i.e., in prosodically strong positions). Meanwhile, some studies have found that a morpheme, which serves an important role as the smallest meaningful unit in a language, may also have an impact on articulation. However, little has been revealed how the underlying morphological information interacts with prosodic information, although articulatory realization is influenced by the two aforementioned linguistic information. Thu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rosodic modulation on the seemingly homophonous pairs, consisting of different underlying morphological structures (i.e., tautomorphemic (C1)V1C2V2 vs. hetero-morphemic (C1)V1C2+ V2, where ‘+’=a morpheme boundary). Results show that the C2 gesture becomes more synchronous with the V2 gesture at the beginning edge of IP. Also, greater synchrony between the C2V2 gestures is observed within a morpheme (C1)V1C2V2 than across morphemic boundary (C1)V1C2+V2. Under prominence, the intergestural timing and its stability are augmented with reference to the underlying morphological composi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stability of gestural coordination may not be involved in the meaning distinction. To sum 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orphemic information is not only present on post-lexical stages, but it also interacts with higher-order prosodic structure by modulating gestural coordination and its stability in reference to the pattern of the underlying morphological structure and its subordinate syllable struc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03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6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영어영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