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3 0

예술에서의 감정 매개 교차양태 관련성과 미적 경험에 미치는 효과

Title
예술에서의 감정 매개 교차양태 관련성과 미적 경험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motionally Mediated Crossmodal Correspondence in Art and its Effect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uthor
조한울
Alternative Author(s)
Jo Hanul
Advisor(s)
류호경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다감각 자극과 교차양태 관련성은 예술 분야에서 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예술 작품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인간의 감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교차양태 관련성이 다감각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의 감정적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는 것은 예술 분야의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여전히 실제 예술 작품에 대해서 교차양태 관련성과 미적 경험을 다룬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복잡하고, 미적이며, 추상적인 추상화와 기악곡을 실험 자극으로 사용하여 그림과 음악 간에 교차양태 관련성이 존재하는지, 그것이 감정적, 의미적, 미적으로 매개되는지 조사하였다. 그리고 미적 경험에서 그림과 음악 간에 교차양태 일치 효과와 감정적, 의미적, 미적 척도들 간의 계층적 인과 관계를 밝혀내어 미적 경험에 기여하는 요소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3가지 실험이 수행되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자가 평가 마네킹, 의미 차별화 척도, 미적 척도를 사용하여 총 14개 척도에 대해서 10점의 추상화와 10곡의 기악곡의 감정적, 의미적, 미적 평가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피험자들에게 10곡의 기악곡 각각에 대해 어울리는 그림 3점과 어울리지 않는 그림 3점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세 번째 실험은 첫 번째 실험과 같은 총 14개 척도를 사용하여 감정적, 의미적으로 비슷한 평가를 받은 음악과 그림이 조합된 10개의 교차양태 일치 자극과 아주 다른 평가를 받은 음악과 그림이 조합된 10개의 교차양태 불일치 자극의 감정적, 의미적, 미적 평가를 수집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우리는 추상화와 기악곡 간에 교차양태 관련성이 존재함을 보였고 그 관련성은 특히 감정적, 의미적으로 강하게 매개되었다. 그리고 미적 경험을 형성하는 데 있어 시각 자극보다 청각 자극이 더 지배적으로 작용함을 알아내었다. 교차양태 불일치 자극은 시각 또는 청각 단일 자극과 교차양태 일치 자극 모두에 비해 저하된 미적 경험을 제공하였다. 사람들이 교차양태 일치 자극을 아름답고, 쾌락적이며, 좋다고 생각하는 데는 그 다감각 자극을 구성하는 청각과 시각 자극의 극성(valence)이 크게 기여한다. 또한 청각 자극의 극성 척도에는 어두운/밝은, 탁한/맑은, 약한/강한 척도가, 시각 자극의 극성 척도에는 탁한/맑은, 불협의/조화의, 어두운/밝은, 차가운/뜨거운 척도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음악이 밝거나, 맑거나, 또는 강할수록, 그림이 맑거나, 조화롭거나, 밝거나, 또는 뜨거울수록 교차양태 자극의 미적 경험은 향상된다. 예를 들어 장조의 템포가 빠른 음악을 들으면서 밝은 색상을 많이 사용한 그림을 동시에 감상하면 향상된 미적 경험을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원하는 예술 경험을 이끌어낼 수 있는 시각-청각 다감각 자극을 디자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Interest in multisensory stimulation and crossmodal correspondence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art. One of the most important purposes of art works is to cause emotional reaction to humans. Therefore, it is very significant to find out how crossmodal correspondence affects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audience who appreciate multisensory art work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crossmodal correspond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of art works. In our research, we use complex, aesthetic, and abstract visual and auditory stimuli, specifically abstract painting and instrumental music.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crossmodal correspondence between painting and music and whether the correspondence is mediated emotionally, semantically, and aestheticall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rossmodal congruency effect between paintings and musics on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hierarchi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emantic, and aesthetic scales to find out which factors contribute to the aesthetic experience of crossmodal stimuli.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In experiment 1, we collected the emotional, semantic, and aesthetic evaluations of 10 abstract paintings and 10 pieces of instrumental music using SAM,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and aesthetic scales. In experiment 2, the subjects were asked to select three paintings that match with each of the 10 pieces of instrumental music and three paintings that unmatch. The third experiment was to collect the emotional, semantic, and aesthetic evaluations of the 10 sets of crossmodal congruent stimuli and 10 sets of incongruent stimuli. Congruency or incongruency of the sets were reflected by deriving the emotional and semantic Euclidean distance between paintings and musics from the first experiment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at there are crossmodal correspondences between abstract painting and instrumental music. The relationships are particularly strongly mediated emotionally and semantically. And it was foun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crossmodal congruent stimuli is dominated by auditory stimuli. On the other ha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crossmodal incongruent stimuli was all decreased compared to the visual, auditory unimodal stimuli, and crossmodal congruent stimuli. Positive valence of auditory and visual stimuli that consist of the crossmodal congruent stimuli greatly contribute to people’s thinking that the stimuli are aesthetic, that is, beautiful, hedonic, and good. In addition, valence of auditory stimuli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ark/bright, turbid/clear, and weak/strong scales, and valence of visual stimuli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urbid/clear, dissonant/consonant, dark/bright, and cold/warm scales. In conclusi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crossmodal stimuli is improved as musics are bright, clear, or strong, and paintings are clear, consonant, bright, warm. For example, if you appreciate the fast, major mode music and a matching painting that use a lot of bright colors, you can have an ‘aesthetic’ experience.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designing multisensory stimuli combined with visual and auditory that can lead to desired aesthetic experie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01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24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TS AND TECHNOLOGY(아트테크놀로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