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6 0

광고홍보전공 대학생들의 PR업무 및 PR업계에 대한 인식 연구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itle
광고홍보전공 대학생들의 PR업무 및 PR업계에 대한 인식 연구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Gender and Practices in Public Relations : Future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Gender Gap in PR Practice and Industry
Author
한미정
Keywords
PR업무; PR업계; 리더십; 성별차이; PR Practice; PR Industry; Leadership; Gender differences
Issue Date
2006-12
Publisher
한국언론학회
Citation
한국언론학보, v. 50, No. 6, Page. 461 - 487
Abstract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광고홍보 전공 대학생의 인식을 살펴보고, PR업계 및 업무현실에서의 성별 차에 따른 인식, 리더십스타일 등을 조사하였다. 응답자들이 5가지 PR업무에 대한 성별 업무적합성 평가를 바탕으로 비교해본 결과, 업계에 진입하지 않은 학생들에게서도 이미 PR업무에 대한 성별분리 인식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자대학생 응답자들은 PR글쓰기업무를 여성에게 더 적합한 업무로, 언론관계의 경우는 남성에게 더 적합한 업무로 평가했으며 남성응답자들은 기획업무, 언론관계, 이벤트업무에 있어서 남자가 여자보다 더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여성응답자의 경우, PR글쓰기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여성응답자들이 남성의 업무적합성에 대해 남성응답자가 여성의 업무적합성을 평가한 것보다 더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획, 언론관계, 이벤트, 조사업무 등의 4가지 업무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PR업계의 업무현실에 대한 성별차이 인식을 조사한 결과 업무실행에 있어서 남자 대학생 응답자들이 여자응답자들에 비해 남성실무자가 업무진행에 있어 더 적극적이거나 더 큰 책임을 맡아서 일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남녀 실무자 간의 성별차이를 더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변형적 리더십에 있어서 남녀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체로 남성응답자들이 여성응답자들보다 비전제시형 및 독려형 리더십의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리더십 함양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응답자 성별에 관계없이 발표활동 및 공모전, 그룹과제 등의 그룹 활동을 중심으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진로개발 및 전공 관련 개인적 활동에 있어서 공모전참가, 인맥관리, 외모 및 체력관리 등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응답자들에 비해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과 PR업무의 성별적 합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성의 기획, PR글쓰기, 언론관계 등의 업무적합성 평가와 리더십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등 다양한 PR업무에 대한 여성의 적합성에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how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e practice of public relations and the industry. More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perceptions of gender difference in PR task aptitude, gender gap in the PR industry, and leadership. Finding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evaluate males to be more fitting as a practitioner. Students of both gender responded that PR writing was more fitting for females and media relations for males.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 perceptions of the PR industry,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male practitioners took more responsibility in implementing PR tasks and males were more likely to take manager positions than female practitioners. Male students also made more efforts in participating student competitions, social networking, and personal management such as appearance and physical training than their counterparts. Leadership turned out to be an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PR task aptitude, especially for female students. Needs and ways of enhancing leadership among female students were discusse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955426&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891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