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혜주-
dc.date.accessioned2019-07-22T02:22:15Z-
dc.date.available2019-07-22T02:22:15Z-
dc.date.issued2019-03-
dc.identifier.citation한국민족운동사연구, NO 98, Page. 183-225en_US
dc.identifier.issn1226-9980-
dc.identifier.urihttps://www.earticle.net/Article/A35121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7682-
dc.description.abstract일제는 1930년대가 되면 군부의 입김이 강화되는 가운데 대외 침략전쟁을 본격화한다. 만주사변, 중일전쟁을 일으키며 침략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식민지 조선을 전쟁동원 체제에 맞추어 가는 정책을 전개했다. 이 글은 1930년대 󰡔朝鮮公論󰡕 사설의 논조가 조선통치를 어떻게 비평하고 있는지 정치가, 관료, 학자 등의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검토했다. 첫째, 우가키 총독의 통치에 대한 비평은 자력갱생운동이 조선에서 시행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그 실행 방법과 실적에는 결함이 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농촌진흥운동이 피상적이고 미봉책에 불과하며 갱생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조선에서 우가키 총독의 반영구적인 통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미나미 총독의 대륙정책은 비상시국 하에 있는 일본이 나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 대륙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조선 내의 兵備를 충실히 하고 동경, 경성, 新京을 잇는 ‘신일본’ 건설이 필요하며, 조선은 그 전진기지로서 중요한 지역이다. 셋째, ‘내선융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국어보급이고, 이를 위해 ‘내선’의 언어통합이 중요하다. 초등교육에서 國體의 大要를 가르치고, 조선개발 통치를 위해서는 청년교육이 중요하며 비상시국 하에서 사상 선도가 필 요하다. 넷째, 중일전쟁 이후가 되면 장기전에 대비하기 위해 ‘국민정신’을 총동원하는 것이 내선인을 융합시키는 길이다. ‘일본정신’을 타락시키는 공산주의와 자유주의를 억제해야 한다. 앞으로 소련과의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사상통제를 강화하고 국민정신총동원이 필요하다. 1910년대와 1920년대 조선공론의 사설에는 사안에 따라 총독정치에 대한 비판적인 논조가 등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1930년대에 들어가면 거의 전시체제를 지원하는 총독부의 기관지 성격을 갖는 잡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한계점을 보인다. 특히 사장교체와 관련하여 2대 사장 이시모리 시절 총독부의 정책에 비판적이던 논조가 4대 사장 사토키치에 이르면 총독의 치적을 칭송하기에 이른다. 이후 미나미 총독 시기에도 대체적으로 호의적인 기사를 내보내고 있다. 이것은 총독의 업적을 과장하고 칭송하여 총독부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으려는 의도에서 비판적인 기사를 자제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In 1930s, the Japanese government was under full-scale wars to invade others while the influence of military was strengthened. In order to carry out the wars, such as, Manchurian Incident, Sino-Japanese War, and others, it deployed the policy to fit the colonial Joseon for the war mobilization system. This article has reviewed the editorials of 『Joseon Gongron』 in the 1930s regarding how it critiqued the ruling of Joseon by the Japanese intellectuals based on the Joseon ruling theory and Japan-Joseon Conciliation. First, it positively assessed the ruling of Governor-General Ukaki that the self-revitalization movement was implemented in Joseon. However, it raised the criticism of having flaws in the execution method and performance record.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was superficial and merely a temporary policy and there was difficulty of farm revitalization. In Joseon, there was a need for semi-perceptual ruling of Governor-General Ukaki. Second, the continent policy of Governor-General Minami presented the direction for Japan that was under the urgent political situation to march forward. In order to carry out the policy, it required the substantiating the military system of Joseon and construct 'new Japan' to link Tokyo, Kyoto and Singyeong with Joseon being an important territory as its front post. Third, the need for the ‘Japan-Joseon Conciliation’ would be dispersion of Japanese language, and for this purpose, integration of language of ‘Japan-Joseon’ would be critical. For teaching the great summary of state political system in the primary education and ruling Joseon that was under the emergency political situation, it would require leading the ideology through the youth education. And, fourth,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path to integrate people of Japan-Joseon is to mobilize the 'national mentality' in order to prepare for prolonged war and it must control the communism and liberalism that taint the ‘Spirit of Japan’. In order to prepare the war with the Soviet, the ideological control must be strengthened and the total mobilization of ‘'national mentality’ is required. In the editorials of 『Joseon Gongron』 of 1910s and 1920s, there was occasional critical article tones on the Governor-General politics depending on the agenda. However, in 1930s, it displayed its limit for carrying out the function as the magazine with the character of government newsletter of the Governor-General Office that supports the war-time system.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4S1A5A2A01013839)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민족운동사학회en_US
dc.subject조선공론en_US
dc.subject우가키 총독en_US
dc.subject미나미 총독en_US
dc.subject농촌진흥운동en_US
dc.subject대륙정책en_US
dc.subject내선융화론en_US
dc.subject내선일체en_US
dc.subjectJoseon Gongronen_US
dc.subjectGovernor-General Ukakien_US
dc.subjectGovernor-General Minamien_US
dc.subjectthe Rural Revitalization Campaignen_US
dc.subjectContinental Policyen_US
dc.subjectJapan-Joseon Conciliationen_US
dc.subjectNaesunilcheen_US
dc.title잡지 『朝鮮公論』의 1930년대 사설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en_US
dc.title.alternativeThe Joseon ruling theory and Japan-Joseon Conciliation displayed in the editorials of the magazine Joseon Gongron of 1930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98-
dc.identifier.doi10.19162/KNM.98.2019.3.06-
dc.relation.page183-225-
dc.relation.journal한국민족운동사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최혜주-
dc.contributor.googleauthorChoi, Hea-joo-
dc.relation.code2019033849-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RESEARCH INSTITUTE[S]-
dc.sector.departmentRESEARCH INSTITUTE OF COMPARATIVE HISTORY & CULTURE-
dc.identifier.pidheajoo-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