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범수-
dc.date.accessioned2019-07-12T01:10:29Z-
dc.date.available2019-07-12T01:10:29Z-
dc.date.issued2007-11-
dc.identifier.citation한국언론정보학보, v. 40, Page. 221 - 248en_US
dc.identifier.issn1598-3757-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220957&language=ko_KR-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73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양한 영화 창구별 소비 특성 및 후속 시장에서의 소업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에게 영화 소비 선호 창구를 질문한 결과, 극장, 비디오, DVD, 지상파TV, 케이블TV,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6개 영화소비 매체별 조합이 48개로 나타났다. 극장은 자체만의 창구 시장 점유율은 33.5% 정도로 추정되지만, 비디오와 DVD, 지상파TV, 케이블TV, 인터넷 등의 후속 창구와 연계될 때에는 총 64.50%까지 시장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화가 다른 후속 창구와의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영화 소비 창구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령별로 영화 소비 창구 조합의 특성을 살펴보면, 40대 응답자들은 극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하 높게 나타난 반면, 10대 응답들은 극장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학력별로 살펴보면, 대졸 이상 응답자들이 극장을 영화 소비 창구로 선택하는 비율은 34.3%인 반면, 고졸 이하 응답자들은 13.1%로 나타났다. 소득별로 영화 소비 창구 조합의 특성을 살펴보면, 400만 원 이상의 고소득 계층에 속하는 응답자들은 극장 비중이 48.9%로 매우 높은 반면, 기타 다른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 원 미만의 소득을 갖는 응답자들은 극장 및 후속시장 2개의 비중이 16.8%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 소비량별로 영화 소비 창구 조합의 특성을 살펴보면, 영화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극장 의존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극장에서는 일차 소비만으로 더 이상 영화를 소비하지 않는 응답자 비율이 47.7%로 나타난 반면, 개별 후속 시장에서는 그 비중이 0.8%로 나타났다. 이는 후속 시장에서 영화를 소폐한 응답자들은 다른 창구에서도 계속적으로 영화에 접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movie consumption media. Using survey data, this research focused on combinations of movie platforms including theater, video, DVD, terrestrial television, cable television and the Interne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rty eight combinations in accessing theatrical movies. The market share of theaters was approximately 33.5%. However, this has increased to 64.50% in case of integrating other movie consumption media. The results of Chi-Square analysis showed that although the older movie-goers prefer to theaters, the youngers like to access other movie media. In addition, many movie-goers tended to replicate their viewing at the theater.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언론정보학회en_US
dc.subject영화 소비en_US
dc.subject영화 창구en_US
dc.subject반복 소비en_US
dc.subjectmovie consumptionen_US
dc.subjectmovie platformen_US
dc.subjectrepetitive consumptionen_US
dc.title영화 소비 창구의 구조와 특성en_US
dc.title.alternative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Movie Consumption Media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한국언론정보학보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dc.contributor.googleauthor전범수-
dc.relation.code201221436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COMMUNICATIO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MEDIA & SOCIAL INFORMATICS-
dc.identifier.pidccblade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