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호영-
dc.date.accessioned2019-07-10T07:19:40Z-
dc.date.available2019-07-10T07:19:40Z-
dc.date.issued2007-11-
dc.identifier.citation현대영화연구, v. 4, Page. 27-46en_US
dc.identifier.issn1975-5082-
dc.identifier.uri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64754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7286-
dc.description.abstract푸코와 토도르프(Tzvetan Todorov)는 이미 1960년대부터 소설과 영화 등 현대 서사예술이 겪고 있는 딜레마를 진단하면서, 더 이상 새로운 이야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식으로든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는 현대 서사예술가들의 상황을 『천일야화』의 세헤라자데 공주의 딜레마에 비유했다. 매일 밤 새벽까지 이야기를 해야 목숨을 부지할 수 있으면서도 점점 더 새로운 이야기를 찾기 힘든 세헤라자데의 상황이, 이미 모든 이야기를 다 말해버린 현대 서사예술가들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온전하게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기보다는 이미 존재하는 이야기나 이야기들을 새롭게 변형해 하나의 작품으로 내놓는 것이 현대 서사예술가들의 유일한 대안이라고까지 주장했다. 패러디 영화의 유행의 또 다른 원인은, 바로 현대 서사예술의 겪고 있는 이러한 심각한 내러티브의 위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여타 예술에 비해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현대의 영화작가들 역시 억지로 새로운 이야기를 쥐어 짜내기보다는 기존의 작품들을 변형시키고 재조합하는 일에서 작업의 실마리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요컨대, 새로운 서사의 창출의 어려움에 봉착한 현대 영화인들에게 패러디 영화는 하나의 훌륭한 대안이 되어가고 있다. 한편, 패러디 영화는 현대의 영화 작가들로 하여금 새로운 것의 창조라는 임무를 떠맡은 특권적 존재로서의 의식을 버리게 하고, 영화 창작의 목적을 ‘순수하게 새로운 작품의 창작’에서 ‘기존 작품의 학습과 창조적 변형’으로 바꾸어가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현대 영화의 제 양상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이중적 의의를 얻을 수 있다. 우선, 패러디 작업은 영화 안에서 생성되는 내용 뿐 아니라 영화를 만드는 방식과 과정에도 동일한 정도의 중요성을 부여하게 된다. 즉, 창작 행위에서 ‘무엇’과 ‘왜’ 외에도 ‘어떻게’ 또한 중요한 탐구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기존의 주류 영화들이 지나치게 작품의 내용이나 주제만 강조해온 것에 대한 반발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패러디 작업은 ‘무엇’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어떻게’에만 의미를 부여해온 일련의 실험 영화들과도 차별된다. 패러디 영화 있어서 ‘무엇’은 완전한 창조물에 상응하지는 않지만 과거의 유산이자 전통으로서 의의를 가지며, 나아가 또 다른 텍스트의 생산을 위해 하나의 중요한 수단이 되는 것이다. 결국, 패러디 영화는 지나치게 줄거리나 주제만을 강조해온 전통 영화의 틀로부터 벗어나고, 동시에 내용을 무시한 채 단지 새로운 형식의 탐구에만 몰두해온 현대 실험 영화들의 태도도 지양한다. 즉, 영화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균등한 탐구를 추구하면서 더불어 낡은 것(전-텍스트)과 새로운 것(후-텍스트)의 조화를 끊임없이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균형성이야말로, 패러디 영화에 대한 현대 영화작가들의 높은 관심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특성일 것이다. The term "intertextuality" has been borrowed and transformed many times since it was coined by poststructuralist Julia Kristeva, Claude Levi-Strauss, Philippe Sollers, Michel Foucault in 1960`s. Intertextuality become the shaping of texts` meanings by other texts. It can refer to an author`s borrowing and transformation of a prior text or to a reader`s referencing of one text in reading another. Some postmodern theorists like Gerard Genette and Jacques Derrida tal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textuality" and "hypertextuality" (Palimpsestes); intertextuality makes each text a "mosaic of quotations" and part of a larger mosaic of texts. In the movies, intertextuality is often used to provide depth to the fictional reality portrayed in the medium, such as characters in one film mentioning characters from another. Some critics have complained that the ubiquity of the term "intertextuality" in postmodern criticism has crowded out related terms and important nuances. Linda Hutcheon argues that excessive interest in intertextuality obscures the role of the author, because intertextuality can be found "in the eye of the beholder" and does not necessarily entail a communicator`s intentions. By contrast, parody, Hutcheon`s preferred term, always features an author who actively encodes a text as an imitation with critical difference. Linda Hutcheon describes parody as something more complex than an imitation of another piece of art (or art form) for the sake of ridicule or amusement. Instead, Hutcheon views parody as a kind of copy that rewrites the original in a manner that is not necessarily mocking. "Parody is, in another formulation, repetition with critical distance, which marks difference rather than similarity." Notable examples of intertextuality and parody include movie series like Back to the Future, Indiana Jones, and Kill Bill which are very heavily dependent upon intertextual references as a source of humor. Some french movies like Tirez sur le pianiste, A bout de souffle, Zazie dans le metro also uses a lot of intertextual homages to create humour. Intertextuality should be seen as more than sly references and in-jokes, however. As in many cases of intertextuality, the casual reader does not need to get any of these references to enjoy the work but it may add to appreciation.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en_US
dc.subjectintertextualityen_US
dc.subjectparody moviesen_US
dc.subjectcitationen_US
dc.subjectcollageen_US
dc.subjectLinda Hutcheonen_US
dc.subjectGerard Genetteen_US
dc.title상호텍스트적 영화와 패러디 영화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arody Movies and Intertextuality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현대영화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김호영-
dc.relation.code2012214606-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FRENCH STUDIES-
dc.identifier.pidzizou-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FRENCH STUDIES(프랑스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