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성욱-
dc.date.accessioned2019-06-28T04:47:59Z-
dc.date.available2019-06-28T04:47:59Z-
dc.date.issued2007-09-
dc.identifier.citation언론과학연구, v. 7, No. 3, Page. 151-186en_US
dc.identifier.issn1598-2653-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7319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6912-
dc.description.abstract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관련하여 학교 교육의 핵심이 되는 교과서를 살펴, 그 안에 표현된 광고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자 초·중·고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총 680권의 내용(광고 관련 내용 655건)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교과서 내용 분석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광고 개념의 적합성 여부와 광고 서술에서 먼저 광고개념의 경우 96%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서술의 경우는 77%가 중립적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올바르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다음으로 부정적이 15%(98건), 긍정적이 8%(53건)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체로 중립적인 서술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부정적인 서술이 긍정적인 서술의 두 배 가까이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은 문제점으로 지적될 만하다. 부정적 광고 서술은 ‘불필요한 광고 우편물’, ‘물질적 욕망을 부추기는 여러 가지 선전과 광고’와 같이 일방적으로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한 경우와 ‘배은망덕하기 십상’, ‘잡종 예술이거나 통제 예술에 불과’와 같은 지나친 주관적 비평이 인용된 경우를 포함한다. 이는 광고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부적절한 내용이나 과장된 내용을 전달함으로 해서 광고에 대한 잘못된 선입관을 형성시킬 수 있다. 특히 교사들의 교과내용 전달방향을 결정짓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도서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이 요구된다. 광고가 사회에 주는 긍정적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으로 비쳐진다면 향후의 광고의 기능에 문제가 될 것 같다. 이런 문제점을 대비하기 위해 몇 가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 같다. Totally 680 contents shown on the textbook related to advertising were analyzed. Following results are shown in this study. In the appropriateness of advertising concept, 96% were appropriate in the textbook.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aspects of advertising were analyzed. Positive aspects were 8%, neutral 77%, and negative aspects were 15%. When negative aspects were specifically analyzed, the negative degrees were deeper than we expected. Therefore, positive aspects need to be emphasized in the school and much strategy need to be prepared to improve the positive function of advertising.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지역언론학회en_US
dc.subjectTextbooken_US
dc.subjectSocial Role of Advertisingen_US
dc.subject교과서en_US
dc.subject광고의 사회적 역할en_US
dc.title우리나라 초중고 교육용도서에 나타난 광고의 사회적 역할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Social role of advertising shown on the textbook used i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언론과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Shim, Sung Wook-
dc.contributor.googleauthorHwang, JangSun-
dc.contributor.googleauthorChung, Girljin-
dc.relation.code201221516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COMMUNICATIO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dc.identifier.pidswsjah3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