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6 0

동해 울릉분지 가스 하이드레이트 매장 지역의 메탄산화미생물 군집 조성 및 분포

Title
동해 울릉분지 가스 하이드레이트 매장 지역의 메탄산화미생물 군집 조성 및 분포
Other Titles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Associated with Anaerobic Oxidation of Methane in Gas Hydrate-Bearing Sediment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Author
조혜연
Keywords
AOM; gas hydrate; dsrAB gene; mcrA gene; sulfate-methane transition zone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Citation
바다, v. 20, No. 1, Page. 53-62
Abstract
동해 울릉 분지 내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매장된 지역에서 혐기적 메탄 산화와 연관된 미생물 군집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메탄 누출이 있는 대륙사면 정점(UBGH2-3)과 메탄 누출이 없는 분지 정점(UBGH2-10)에서, (1) 퇴적물의 지화학적 성분 및 황산염 환원율을 측정하였으며, (2) 기능성 유전자 분석을 통해 혐기적 메탄 산화 미생물 및 황산염환원 미생물 군집의 정량 및 다양성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황산염-메탄 전이지대(sulfate andmethane transition zone, SMTZ)는 UBGH2-3에서 0.5~1.5 mbsf (meters below seafloor), 그리고 UBGH2-10에서는 6~7mbsf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의 SMTZ에서 측정된 황산염 환원율은 UBGH2-3의 1.15 mbsf에서 1.82nmol cm-3 d-1으로 나타났고, UBGH2-10의 SMTZ에서 황산염 환원율은 4.29 nmol cm-3 d-1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총 미생물 16S rRNA gene과 기능성 유전자인 mcrA (methyl coenzyme M reductase subunit A) 및 dsrA (dissimilatorysulfite reductase subunit A)의 정량 PCR 결과 두 정점의 SMTZ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그러나UBGH2-10지역에서 mcrA 유전자는 SMTZ 아래인 9.8 bmsf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mcrA 유전자의 다양성 분석 결과 두 지역의 SMTZ와 그 아래 퇴적층에서 혐기성 메탄산화 고세균(ANME: Anaerobic MEthanothoph) 군집인 ANME-1이 우점하였다. 한편, ANME-2 군집은 메탄 누출이 발생하는 UBGH2-3지역의 2.2 mbsf 층에서만 관찰되었고, 더불어 dsr 유전자 다양성 분석 결과 ANME-2와 컨소시엄을 이루는 Desulfosarcina-Desulfococcus (DSS)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ANME-1과 ANME-2은 동해 심부 퇴적 환경에서 혐기적 메탄 산화 및 생성 과정에 관여하는 중요한 고세균 군집으로 사료되며, 또한 ANME-2/DSS 컨소시엄은 메탄이 누출되는 지역인 UBGH2-3과 같이 혐기적 메탄 산화가 활발한 곳에서 메탄 거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미생물 그룹으로 인식된다. To elucidate the microbial consortia responsible for the anaerobic methane oxidation in the methane hydrate bearing sediments, we compared the geochemical constituents of the sediment, the rate of sulfate reduction, and microbial biomass and diversity using an analysis of functional genes associated with the anaerobic methane oxidation and sulfate reduction between chimney site (UBGH2-3) on the continental slope and non-chimney site (UBGH2-10) on the basin of the Ulleung Basin. From the vertical profiles of geochemical constituents, sulfate and methane transition zone (SMTZ) was clearly defined between 0.5 and 1.5 mbsf (meters below seafloor) in the UBGH2-3, and between 6 and 7 mbsf at the UBGH2-10. At the UBGH2-3, the sulfate reduction rate (SRR) in the SMTZ exhibited was appeared to be 1.82nmolcm−3d−1 1.82nmolcm−3d−1 at the depth of 1.15 mbsf. The SRR in the UBHG2-10 showed a highest value (4.29nmolcm−3d−1 4.29nmolcm−3d−1 ) at the SMTZ. The 16S rRNA gene copy numbers of total Prokaryotes, mcrA, (methyl coenzyme M reductase subunit A), and dsrA (dissimilatory sulfite reductase subunit A) showed the peaks in the SMTZ at both sites, but the maximum mcrA gene copy number of the UBGH2-10 appeared below the SMTZ (9.8 mbsf). ANME-1 was a predominant ANME (Anaerobic MEthanotroph) group in both SMTZs of the UBGH2-3 and -10. However, The sequences of ANME-2 were detected only at 2.2 mbsf of the UBGH2-3 where high methane flux was observed because of massive amount of gas hydrate at shallow depth. And Desulfosarcina-Desulfococcus (DSS) that is associated with ANME-2 was detected in 2.2 mbsf of the UBHG2-3. Overall results demonstrate that ANME-1 and ANME-2 are considered as significant archaeal groups related to methane cycle in the subsurface sediment of the East Sea, and ANME-2/DSS consortia might be more responsible for methane oxidation in the methane seeping region than in non-seeping region.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508556261743.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6027
ISSN
1226-2978
DOI
10.7850/jkso.2015.20.1.53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E](부설연구소) > INSTITUTE OF OCENA AND ATMOSPHERIC SCIENCES(해양ㆍ대기과학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