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훈-
dc.date.accessioned2019-05-20T04:27:32Z-
dc.date.available2019-05-20T04:27:32Z-
dc.date.issued2008-07-
dc.identifier.citation디지털디자인학연구, v. 8, No. 3, Page. 137-146en_US
dc.identifier.issn1598-2319-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172197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4715-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오감을 통해 세상을 지각한다. 그 중 시각 60%, 청각 20%, 촉각 15%, 미각 3%, 그리고 후각이 2%로 받아들인다. 이처럼 시각과 청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특히 TV영상은 이미지와 소리 중심으로 표현되기에 시각과 청각에 대한 비중이 더욱 높다. 본 논문은 이처럼 시각과 청각 자극의 비중이 높은 TV 환경에서, 공익광고 영상을 대상으로 피부로 접촉하지 않고, 눈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촉각적 경험인 시각적 촉각 자극에 대해 알아봄과 동시에 시각적 촉각 자극 공익광고영상과 광고영상구성요소와의 상관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TV에서 방송된 공익광고영상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최종 실험 결과 총 52편중, 12편(23.1%)에 대해 실험자가 시각적 촉각 자극을 느꼈으며, 광고구성 요소와의 상관성에서는 모델(31.1%)과 컴퓨터그래픽 (18.2%)에 실험자가 가장 시각적 촉각 자극을 많이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모델과 컴퓨터 그래픽의 어떤 요소가 시각적 촉각 자극에 관여 하였는가’에 대한 연구와 ‘시각적 촉각 자극 정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어떠한 광고영상이 시청자 (소비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본 논문이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Human recognizes the world through senses. Human accepts 60% of information from vision, 20% of it from hearing, 15% of it from touching, 3% of it from palate, and 2% of it from smell. Among all these senses, people highly depend on vision and hearing. Especially, most information on TV is visual images and sou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visual haptic experience of public advertising campaign images on TV screen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haptic stimulus and advertising elements of visual image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52 public advertising campaign images aired in 2007. As a result, the subjects felt visual haptic stimulus from 12(23.1%) public advertising images. As for the relationship with advertising visual elements, the subjects felt it more from model (31.1%) and computer graphic images (18.2%).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urther study was proposed: analysis about more specific visual haptic stimuli elements of model and computer graphic images and comparative analysis about level of visual haptic images to find out more effective visual haptic stimulus for the public advertisement campaign.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en_US
dc.subjectTV public service advertisingen_US
dc.subjectvisual hapticen_US
dc.subjectadvertisement elements of visual imagesen_US
dc.title시각적 촉각 자극과 광고영상 구성요소의 상관성 연구 - TV 공익광고영상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Visual Haptic Stimulus and Advertisement Elements of Visual Images - Focus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디지털디자인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종무-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성훈-
dc.relation.code201221219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DESIG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ENTERTAINMENT DESIGN-
dc.identifier.pideagle-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NTERTAINMENT DESIGN(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