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1 0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와 사회적 현존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Title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와 사회적 현존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College Student's Usage of Emoticons in Mobile Text-Based Messaging
Author
박성복
Keywords
모바일; 문자메시지; 이모티콘 이용 동기; 사회적 현존감; Mobile communication; Emoticon; Text-based messaging; Social presence
Issue Date
2008-04
Publisher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Citation
미디어,젠더&문화, No. 9, Page. 133-162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인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문자메시지를 새롭게 재인식해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유지행동과 문자메시지의 속성이 어떻게 부합하는지 이모티콘 사용에 중점을 두어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들의 문자메시지 교류는 정서적인 측면이 강한 사회적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어 문자메시지의 교환을 통해 기존에 알고 있는 사람들과의 친교를 돈독히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대학생들은 기쁨이나 슬픔 등의 감정을 표시할 때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모티콘이 이용자 간의 감정표현을 가능케 하는 ‘비언어적 사회적 상황신호’로 기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대학생들은 대화의 무거움 해소, 대화의 정서적 효과, 유행, 대화의 간결성, 재미ㆍ습관 등의 이유로 문자메시지 사용에서 이모티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이모티콘 사용은 사회적 현존감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즉, 감성이나 감정 또는 의사를 표현하는 이모티콘의 적극적인 사용은 대화 당사자들이 서로 ‘함께 있는 듯한’ 또는 ‘정서적으로 연결된 듯한’ 느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비언어적 상징으로서 이모티콘은 단순히 감정표현 기제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ㆍ관계적 커뮤니케이션 상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In the last decade, we ate witnessing an enormous increase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 More and more interactions take place via e-mail, and chat. Early research argues that text based forms of CMC lose nonverbal cues such as facial expressions, gestures or tone of conversation. However, more recent research argues that communicators can use emotional icons(emoticons) to express nonverbal cues missing in CMC. Despite their potential importance in CMC,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usage and effect of emoticons in CMC. This paper aim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use of emoticon in their mobile text messaging. The study found that (1) college students used emoticon to make conversation soft and short, and to obtain emotional attachment and entertainment, and (2) the use of emotic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ense of being together in mobile text messaging.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emoticon functioned as a facilitator of emotional expression and had an impact on rela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findings limitations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15158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4427
ISSN
1738-248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