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8 0

화면에서 이미지의 위치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감성변화 - 삼등분할 법칙(Rule of Third)을 중심으로

Title
화면에서 이미지의 위치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감성변화 - 삼등분할 법칙(Rule of Third)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Change in User`s Sensibility Subsequent to the Change of Image Position on the Screen -Focused on Rule of Third-
Author
김성훈
Keywords
삼등분할 법칙; 감성; 황금비율; 의미분별법; Rule of Third; Sensibility; Golden Ratio; Semantic Differential
Issue Date
2009-12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5, No. 4, Page. 122-130
Abstract
영상이나 사진에서 화면의 구성 중 위치는 이미지의 의도를 명확히 전달하고 그 주제를 강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이미지를 만들 때 선과 형을 사용 피사체에 크기와 원근감, 명암, 질감, 운동, 시간, 방향, 감정 등을 표현하여 작가의 의지를 보는 사람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사람이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구도중의 하나가 삼등분할 법칙(Rule of Third) 또는 황금 분할(Golden Section)로 영상, 사진 그리고 디자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삼등분할 법칙이지만 삼등분할 법칙의 각 위치 차이에 따라 변하는 사람의 감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삼등분할 법칙에서 위치의 차이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감성의 차이를 의미분별법(Semantic Differential) 이론을 통해 정량화(Quantification)하는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총43명의 실험자에게 삼등분할 법칙의 4개 꼭짓점과 중앙 위치 등 총 5개의 위치를 선정하고 각기 다른 위치를 통해 느끼는 감성의 차이를 설문을 통해 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감성 어휘는 14개의 상위 어휘와 62개 하위 어휘로 나누었으며, 위치와 관련된 `복잡한-단순한`, `가벼운-무거운`, `정적인-동적인`, `긍정적-부정적`, `편안한-불편한`등 5개의 쌍을 이루는 감성어휘를 추출하여 설문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화면에서 위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감성 정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표준편차 차이는 최저 0.66, 최고 0.90로 큰 차이는 없었다. 둘째, 화면 이미지 위치에 따른 감성의 최고 선호도는 왼쪽 위(1번) 위치에서 단순한, 왼쪽 아래(2번) 위치에서 무거운, 부정적, 불편한, 오른쪽 아래(4번) 위치에서 가벼운, 긍정적, 편안한, 중앙(5번) 위치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히 오른쪽 아래(4번) 위치와 왼쪽 아래(2번) 위치에서 실험자는 `가벼운-무거운`, `정적인-동적인`, `긍정적-부정적`, `편안한-불편한` 에서 상반되는 감성의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화면에서 위치의 변화는 인간의 감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영상, 사진, 디자인에서 화면 구성에 있어 위치를 통해 느끼는 소비자의 감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osition in the composition of a screen in images or photographs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which clearly conveys the intention of an image and emphasizing its theme. In addition, the position, in creating an image, plays a role in conveying a creator`s volition to a viewer by expressing the size of a subject, perspective, light & shade, texture, motion, time, direction, and sentiment, etc through the use of line and form. Particularly, one of the compositions that give a sense of stability the most to people is Rule of Thirds, or Golden Section and these are extensively used in image, photography and design. Though the Rule of Third is being used extensively, in reality, the research on the change in man`s sensibility depending on each position of the Rule of Thirds is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research work was done on quant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sensibility which people fee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position in the Rule of Thirds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Theory.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a total of 43 subjects on the difference of sensibility through the different position individually by selecting 5 positions in total including 4 vertexes and a central position, etc. The sensitivity-related vocabularies used in this research was divided into 14 super ordinate ones and 62 subordinate ones and this research extracted and applied the five-paired sensitivity vocabularies related to a position, such as `complicated-simple`, `light-heavy`, `static-dynamic`, `positive-negative`, and `convenient-inconvenient`, etc. to the questionnaire. Thi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a difference in a user`s emotions information subsequent to a change of position on the screen, but there appeared no remarkable difference in standard deviation with the lowest 0.66 and the highest 0.90. Second, the highest preference of emotions subsequent to the image on the screen appeared `simple` at the left top(No.1)position; `heavy, negative, and inconvenient` at the left lower(No.20 position; `light, `positive`, `convenient` at the right lower position and `negative` at the central[No.5]position. Third, particularly, the research subject showed a conflicting change of emotions in `light-heavy`, `static-dynamic`, `positive-negative` and `convenient-inconvenient` at the right lower(No.4) and left lower(No.2)position. Considering such results, the change of a position on the screen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change of human sensibility and this writer hopes that this research could be basic data to the understanding and grasping of a consumer`s sensibility they feel through the position of the screen composition in video, photography, and design.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421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4225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NTERTAINMENT DESIGN(엔터테인먼트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