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기수-
dc.date.accessioned2019-05-13T07:57:06Z-
dc.date.available2019-05-13T07:57:06Z-
dc.date.issued2009-08-
dc.identifier.citation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v. 4, Page. 36~58en_US
dc.identifier.issn2005-3886-
dc.identifier.uri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5002528422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4071-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창의성(creativity) 구현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새로움’(new)과 ‘적절함’(appropriateness)의 상보적 구현인 창의성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전략적 유용성 안에서 의미가 있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이 장르, 구현 미디어, 구성 요소, 타깃, 시장 상황과 규모, 향유 방식 등등의 다양한 요소들의 종합으로서 구현되기 때문이다. 또한 창의성은 상투성과의 대타성(對他性)을 전제로 상보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창의성 논의는 상투성 논의와 병행되어야 하며, 향유자의 선행 체험과 상관된 텍스트 내적/외적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이 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대표적인 예를 통하여 파악한 바와 같이, 창의성의 ‘새로움’이나 ‘적절함’을 두 축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상세화하고, 의미 중심의 리터러시(literacy)에서 벗어나 요소별 기능의 유효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텍스트의 구현 전략, 향유의 토대가 되고 있는 선행 학습의 내용과 패턴에 대한 분석, 향유 방식이나 동기 등에 대한 분석적 탐구가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수행될 때, 비로소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 창의성 구현 전략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익숙한 요소의 낯선 변용과 낯선 요소의 익숙한 수용은 스토리텔링의 고유 전략이라는 점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문제는 익숙한 요소들에 대한 파악, 낯선 요소의 창의적 수용, 텍스트 중심의 전략적 유효성, 스토리텔링 요소별 전략, 구현 장르, 미디어, 수익 구조 등에 대한 종합적 고려, 시각, 청각, 공감각 등 지배소의 구현 방식, 서사 구성 요소별 전략 등이 탄력적으로 조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en_US
dc.subject스토리텔링en_US
dc.subject향유en_US
dc.subject비주얼 스토리텔링en_US
dc.subject성장담en_US
dc.subject상호텍스트성en_US
dc.subject전환en_US
dc.subject원천/거점 콘텐츠en_US
dc.subject미시/거시 콘텐츠en_US
dc.subject3막 구조en_US
dc.title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창의성 구현 전략 시론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디지털 스토리텔링 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박기수-
dc.relation.code2012220573-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dc.identifier.pidbeing-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