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0 0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위한 국내 공공병원 병동부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 국내 지역거점 지방의료원을 중심으로

Title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위한 국내 공공병원 병동부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 국내 지역거점 지방의료원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in Ward of Public Hospital - Focused on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in Korea -
Author
박재승
Keywords
N.S;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접근성; 병동; Nurse statio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Accessibility; Ward
Issue Date
2017-06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 26, No. 3, Page. 121-129
Abstract
병동부는 병원의 구성에서 가장 높은 면적율을 가지며 병원계획에 있어서 기본적인 중요한 요소이다. 환자중심의 병동부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면서 진료의 적정성, 안전과 질의 향상, 환자들의 만족도는 높아졌지만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적·경제적 부담은 여전한 실정이다. 게다가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에서 인원이 밀집된 병실의 감염문제가 떠오르면서 병동부과 병실의 병문안과 간병인, 간호서비스체계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정부는 2015년 건강보험을 적용시킨 포괄간호서비스제도 시범사업을 시행하였고 2016년 포괄간호서비스의 명칭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변경되었다. 지방의료원을 중심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었지만 현재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전국 34개 지역거점 지방의료원 중 10개 병원이 간호사의 인력난으로 사업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간호사들의 기존 업무가 사라지는 것이 아닌 병행해야 하는 것으로 간병 서비스 외에도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면 간호서비스의 질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간호 인력의 충분한 확보가 필요하다는 실정이다. 지방의료원은 지방이라는 특성 상 고령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고령의 환자가 많아 더 더욱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필요하다. 이미 시행하고 있는 병원들조차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유지하기 어려워하는 이유는 “간호사가 없어서”라고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의료원의 평면유형 및 공간분석을 통해 병동부와 간호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위한 건축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ward of public hospital for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Integrated nursing service has expanded nationwide from 2016 but 10 out of 34 public hospitals are currently unable to operate as nurses due to the shortage. Analyze each floor plan and space program of ward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tecture plans for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For this study, selecting 14 wards of public hospital in Korea and then analyzes space organization, distance from NS to bedroom and NS to core(Elevator) and spatial hierarchy of them. Among the 14 public hospitals, there are 7 types of double-loaded corridor, 4 types of double corridor and 3 types of single corridor. If NS is placed centrally, the control of the outsider and the patient"s control would be efficient, but most of NS are lean on one side of floor. the placement of NS should be independent of individual arrangements, but it should be smooth alignment with patient spaces, staff spaces, and public spaces. This study could serve as basic research for the architectural plan for future integrated nursing care in ward of public hospital.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19332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3320
ISSN
1229-799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ARCHITECTURE(건축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